[女談餘談] 말이 주는 상처/김정은 정치부 기자

[女談餘談] 말이 주는 상처/김정은 정치부 기자

입력 2010-08-07 00:00
업데이트 2010-08-0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강용석 한나라당 의원의 여대생 성희롱 발언이 화제다. 언론에서 화젯거리로 다루는 것은 물론, 일상 생활에서도 인구(人口)에 회자(膾炙)된다.

이미지 확대
김정은 정치부 기자
김정은 정치부 기자
지난주 대학 동창들을 만났다. 사회생활 3~4년차에 접어든 28세 여성 네 명은 강 의원의 성희롱 발언 논란을 두고 여러 해석을 내놓았다. 특히 한 중견기업 사장 비서인 친구는 강 의원 발언의 진위 여부 논란을 떠나 강자가 약자를 하대하는 문화가 기저에 깔린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말’이란 어떤 무기보다도 강력한 힘을 지녀 남의 심장을 도려낼 수도 있고, 사람을 한없이 무기력하게 만들 수도 있다고 했다. 모두들 동의했다. 순식간에 분위기는 누군가의 말로 상처받은 자들의 성토장으로 변했다.

비서인 친구는 자신의 사례를 이야기하며 얼굴을 붉혔다. 친구 말에 따르면 사장이 TV 리모컨을 건네며 특정 채널을 틀어보라고 주문했다. 친구가 실수로 다른 채널을 틀었다. 사장은 “4년제 대학을 나와 3년간 일했으면서 TV 채널 하나 못 맞추냐. 대학 나온 건 맞냐.”며 면박을 줬다. 친구는 순간 인간적 모멸감을 느꼈다고 했다. 실수로 TV 채널을 잘못 돌린 것은 인정하지만 이것이 4년제 대학 졸업, 3년간의 사회생활과 대체 어떤 연관성이 있는 거냐고 하소연했다. 성적 비하 발언은 여성으로서 기분 나쁘지만 능력 비하 발언은 한 사람의 자존감을 무너뜨린다는 점에서 최악이라고 평했다. 이야기를 듣고 있노라니 가슴이 답답했다. 권력관계에 있어 ‘갑’인 사장이 ‘을’인 비서에게 못난 성질을 부렸노라 여기고 괘념치 말라고 조언했다.

다들 반추(反芻)해 봤다. 강약 정도를 떠나 적어도 한 번쯤은 성희롱 발언을 들어봤거나 모멸감을 느낀 적이 있었다. 반대로 생각해봤다. 나 또한 누군가에게 갑의 위치에서 험한 말을 휘두르지는 않았는가 하고 말이다.

최근 한 고위공무원이 해준 말이 생각난다. 그는 조직의 상층부로 올라갈수록 자신의 말 한마디가 수백명의 직원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민하게 된다고 했다. 말의 힘은 크다. 특히 강자가 약자에게 휘두르는 말의 힘은 상당하다. 웃자고 한 말, 홧김에 한 말이 상대에게 상처를 주진 않았는지 되돌아 보게 된다.

kimje@seoul.co.kr
2010-08-07 2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