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더 레이디(The Lady)/육철수 논설위원

[씨줄날줄]더 레이디(The Lady)/육철수 논설위원

입력 2010-11-16 00:00
업데이트 2010-11-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얀마(버마) 민주화운동의 지도자 아웅산 수치(65) 여사는 눈 밑에 늘어난 주름을 빼고는 예나 지금이나 외모에 큰 변화가 없다. 옅은 색 루주 외에 화장끼라곤 거의 없는 얼굴, 블라우스 차림은 그의 트레이드 마크다. 특히 깃이 없는 버마식 블라우스를 즐겨 입는다. 대학시절엔 블라우스의 다림질이 제대로 안 돼 있으면 외출조차 하지 않았다고 한다. 외국 유학 중엔 고국에 돌아오면 항상 새 블라우스를 맞췄는데, 바느질이 조금이라도 고르지 않으면 다시 만들라고 할 정도였다(미카미 요시카즈 저서 ‘아웅산 수치’).

1990년 총선 유세 때도 그의 깐깐하고 빈틈 없는 성격은 드러났다. 아무리 바빠도 치자꽃·재스민꽃 모양의 머리핀을 꽂는 위치가 정위치에서 1㎜라도 벗어나면 안 되었다. 블라우스도 매일 다른 색깔·무늬를 준비해 다녔다. 이런 깔끔한 성격은 품격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됐으나 반대세력에겐 외고집, 자의식 과잉, 비타협적이라는 편견을 낳게 했다. 하지만 그녀는 아웅산(버마 건국의 아버지) 장군의 딸이기 때문에 그래야 한다고 믿었다.

문학을 좋아하고 평범한 주부로 살아갈 것 같던 그에게도 장군의 피가 흐르고 있음은 피하기 어려웠던 모양이다. 1972년 영국인 학자 마이클 앨리스(1999년 사망)와 결혼하면서 “나와 조국 사이를 가로막지 말고, 버마인들에 대한 나의 기본적 의무 실행을 방해하지 말아달라.”고 말해 남편에게 약속을 받아냈다고 한다. 결국 1988년 어머니의 병을 간호하러 버마에 들렀다가 군사정권의 폭정에 맞서 22년째 민주화운동의 역정을 걸어왔다. 이런 수치 여사에게 민주화를 열망하는 버마인들은 여러 애칭을 붙여주었다. ‘작은 딸’(Little Daughter), ‘수 아주머니’(Aunty Sue), 그리고 최근엔 ‘귀부인’(The Lady)이란 고유명사가 하나 더 늘었다.

‘더 레이디’가 지난 13일, 7년 만에 가택연금에서 풀려났다. 민주화운동 투신 이후 3차례, 15년 동안 가택연금을 당하면서 그의 의지는 조금도 꺾이지 않았다. 식지 않은 사랑을 보여주는 버마 국민이 그에겐 단단한 버팀목이다. 수치 여사는 대학시절 자신의 이름을 ‘희귀한 승리의 찬란한 집합’(A Bright Collection of Strange Victories)이라고 소개하곤 했다. 아웅(Aung)은 승리, 산(San)은 희귀·대단하다는 뜻이며, 수(Sue)는 집합·포용, 치(Kyi)는 빛난다는 의미여서다. 이름에 걸맞게 그가 버마와 그 나라 국민에게 민주주의의 빛나는 승리를 꼭 안겨주길 기원한다.

육철수 논설위원 ycs@seoul.co.kr
2010-11-16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