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낙하산 인사/주병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낙하산 인사/주병철 논설위원

입력 2012-02-20 00:00
업데이트 2012-02-20 0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낙하산 원리 연구에 관심을 가진 최초의 인물은 레오나르도 다빈치다. 1617년 네모난 천을 장대 4개에 팽팽히 묶어 최초의 낙하산을 실험했다고 한다. 하지만 실제로 낙하산을 만들어 상공에서 무사히 착륙했다는 기록은 없다. 현대의 낙하산은 비행기가 출현하기 훨씬 이전에 생겼다.1687년 프랑스 루이 13세의 사절로 태국에 간 루베르가 우산 자루를 허리띠에 단단히 붙들어 매고 높은 탑에서 뛰어내려 비행하는 사람의 곡예를 봤다. 그는 자신이 본 것을 저서 ‘역사이야기’에 기록했다

그로부터 100년이 흐른 뒤 이 책을 읽은 프랑스인 르노르망이 똑같은 실험을 해 대성공을 거뒀다. 양손에 파라솔을 하나씩 들고 2층에서 뛰어내린 뒤 낙하산을 직접 만들었다. 몽펠리에 관측탑에서 자신이 발명한 낙하산에 동물을 매달아 밑으로 날려보낸 뒤 자신도 직접 낙하해 보기도 했다. 르노르망은 자신이 만든 낙하산에 ‘파라슈트’라는 이름을 붙였다. 1783년쯤 된다. 이후 프랑스의 앙드레 자크 가르느랭이란 사람이 숱한 하강 실험을 거친 뒤에야 오늘날의 낙하산 모양이 됐다.

군대와 스포츠 등의 용어로 쓰이던 낙하산이 언제부턴가 공천이나 채용, 승진 등의 인사에서 작용하는 배후의 은밀한 지원이나 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둔갑됐다. 낙하산 인사, 낙하산 공천 이란 말이 그것이다. 우리나라는 군사정권 시절부터 줄곧 준정부기관, 공기업, 준공기업 등의 인사는 낙하산 방식으로 이뤄져 왔다. 참여정부 때 ‘코드인사’라는 용어도 자리를 정치권력 장악에 뒤따르는 노획물로 생각하는 과거의 또 다른 표현일 뿐이었다.

외국에서도 회전문(Swing door), 낙하산 인사(parachute appointment)란 말이 있다. 미국의 엽관제도(spoils system)도 같은 의미로 볼 수 있는데, ‘전리품은 승자에게 속한다.’고 말한 뉴욕주 출신 상원의원 월리엄 마시의 말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일본에서도 낙하산 인사를 꼬집을 때 신이 하늘에서 내려온다는 뜻의 ‘아미쿠다리’라는 말을 쓴다.

한덕수 주미대사가 돌연 대사직을 그만두고 무역협회장으로 추대된 데 대해 전국무역인연합이 낙하산 인사라며 반발하고 나서 시끄럽다. 한 대사가 회장의 자격이 있느냐와는 별개로 무역인들로 구성된 민간 경제단체에 대해 언제까지 정부가 입김을 행사할 것인가는 고민해 봐야 할 때다. 때마침 여당 의원 일부가 ‘방송사 낙하산 인사 방지법’을 추진한다고 하니 이참에 ‘낙하산 인사 방지법’을 총선·대선 공약으로 내걸면 어떨까 싶다.

주병철 논설위원 bcjoo@seoul.co.kr

2012-02-20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