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한국이나 일본이나 오십보백보/박건형 사회부 기자

[오늘의 눈] 한국이나 일본이나 오십보백보/박건형 사회부 기자

입력 2012-03-16 00:00
업데이트 2012-03-16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박건형 사회부 기자
박건형 사회부 기자
한국에서 원자력발전소에 대해 목소리깨나 내는 전문가들의 말은 한결같다. “우리 원전은 안전하다.”는 것이다. 위험성을 경고라도 하려고 나서면 ‘무지의 소산’으로 치부한다. 들으려 하지도 않는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때도 앞다퉈 일본을 비난했다. 의사결정이 늦을뿐더러 뭔가 숨기려다 끔찍한 사고로 이어졌다는 레퍼토리다. 마치 같은 말만 반복하는 ‘앵무새’ 같다.

후쿠시마 사고는 일본에는 안된 말이지만 우리에게는 또 다른 기회였다. 원전을 수출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국가 가운데 강력한 경쟁 상대가 쓰러진 까닭에서다. 세계 최고의 운영 능력, 100%에 가까운 가동률은 한국이 내세우는 원전의 세일즈 포인트다. 30년 넘게 가동 중인 고리 1호기는 시간이 갈수록 고장이 줄고 있다고 자랑했다. ‘축적된 노하우’와 ‘세계적인 기술력’ 덕분이라는 것이다.

자동차보다 비행기를 두려워하고 무서워하는 이유는 비행기 사고가 많아서가 아니다. 비행기는 한번 삐끗하면 사소한 실수라도 엄청난 대형사고로 이어지기 십상이기 때문이다. 엄격한 기준을 적용할 수밖에 없다. 안전이 보장되지 않은 원전은 비행기와 비교할 수 없다. 냉각수 투입이 잠시 늦어진 탓에 후쿠시마는 순식간에 ‘죽음의 땅’이 되지 않았던가.

지난달 9일 발생한 고리 1호기의 전력 소실 사고를 관리자와 현장 직원들이 조직적으로 은폐했다는 정황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12분간 원전이 마비된 ‘한국 원전 사상 최악의 사고’를 ‘없었던 일’로 조작했다. 지식경제부 장관과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은 “보고가 안 된 것은 잘못이지만, 심각한 상황이 아니었다.”며 사과했다. ‘심각한 상황’의 기준을 묻지 않을 수 없다. 원자로가 폭발하고, 방사성물질이 퍼져 나가야만 심각하다고 할까. 신뢰는 한순간에 깨진다. 눈앞의 문책만 피하려 한 책임자의 꼼수 탓에 한국 원전은 졸지에 일본과 오십보백보가 됐다. ‘이번 한 번뿐’이라는 해명을 믿고 싶지만 쉽지 않을 것 같다. 당국은 보다 확실하게 납득할 만한 답을 내놓아야 한다.

kitsch@seoul.co.kr

2012-03-16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