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여기] 계륵과 와이브로 정책/홍혜정 산업부 기자

[지금&여기] 계륵과 와이브로 정책/홍혜정 산업부 기자

입력 2012-03-17 00:00
업데이트 2012-03-17 00: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계륵(鷄肋). ‘닭의 갈비’를 말한다.

이미지 확대
홍혜정 산업부 기자
홍혜정 산업부 기자
후한서(後漢書)의 ‘양수전’(楊修傳)에서 유래한 말로, 먹을 것은 없으나 그래도 버리기는 아깝다는 뜻이다. 위나라 조조가 촉나라 유비와 한중(漢中) 땅을 놓고 싸우면서 한중을 계륵에 비유했다.

이계철 방송통신위원장이 취임 후 첫 전체회의를 주재한 16일. 회의에서 가장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것은 신임 방통위원장이 아닌 ‘계륵’이라는 단어였다.

방통위는 그동안 오는 29일 이용기간이 만료되는 와이브로(WiBro) 주파수 재할당 방안을 놓고 고민해 왔다. 방통위는 이날 와이브로 주파수 재할당을 신청한 KT와 SK텔레콤에 재할당하기로 의결했다.

하지만 회의 내내 와이브로 정책을 놓고 ‘계륵’에 대한 설전이 오갔다. 상임위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리면서 ‘계륵이다, 아니다’를 설명하기 바빴다.

김충식 상임위원은 “롱텀에볼루션(LTE)이 글로벌 시장의 대세이고 와이브로는 계륵이 맞다.”고 단정하고 “춘천에 가면 닭갈비가 유명하지만 서울에서는 유명음식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와이브로를 춘천 닭갈비에 빗대어 대세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폐점하기는 어렵다는 뜻이었다.

이에 대해 홍성규 부위원장은 “춘천에 가면 닭갈비만 있는 것이 아니라 불닭도 있다.”면서 와이브로 정책이 다른 방향으로 발전해 갈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방통위 입장에서는 옛 정보통신부 시절부터 핵심 전략기술로 선정·육성해 온 와이브로 정책을 쉽게 포기할 수는 없는 일이다. 하지만 토종 기술이라는 명분만 내세워 계륵으로 내버려 둬서도 안 된다.

홍 부원장의 ‘불닭’ 표현처럼 와이브로를 LTE와 병행 발전시키고 활성화 대책 마련을 기대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 방통위원장도 회의 주재에 앞서 “아무리 어려운 과제들도 최선을 다해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제 지켜볼 것은 정책의 결과물이다. 와이브로 주파수 재할당 및 와이브로 정책방향 의결을 계기로 방통위 정책에서 더 이상 계륵이라는 단어가 나오지 않기를 기대한다.

jukebox@seoul.co.kr

2012-03-17 2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