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의 소리] ‘주미대사 명함’에 대한 소견/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지도위원 구창서

[독자의 소리] ‘주미대사 명함’에 대한 소견/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지도위원 구창서

입력 2012-03-29 00:00
업데이트 2012-03-29 00: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신문 3월 20일 자에 게재된 김상연 워싱턴 특파원의 칼럼에 대해 소견을 제시한다. 먼저 명함 앞면에 ‘駐 美國 大韓民國 大使館 大使 崔英鎭’과 ‘電話’를 한자로 적어서 중국어로 비쳤다고 했다. 우리 국어 중 70%를 차지하는 한자어를 한자로 적는 것은 조금도 이상한 것이 아니고 중국어의 표기법은 엄연히 다르다.

또 미국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주미대사가 한글 없는 명함을 돌리는 현실이 우리를 슬프게 하고 한글은 망망대해에 떠 있는 독도처럼 소중하고 애틋한 존재라고 했다.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최근 중국의 창힐(倉?)연구회 손붕 회장은 논문을 통해 한자는 우리들의 조상인 동이족이 만들었다고 발표했다. 공자도 동이족이며, 중국의 많은 전문학자도 한자를 동이족이 만들었다고 주장한다.

주미대사가 자긍심을 가지고 당당히 명함에 우리 국어의 하나인 한자어를 한자로 쓰고 고유어를 한글로 명함에 적은 것에 대해 무엇이 그렇게 슬픈지 답답할 뿐이다.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지도위원 구창서

2012-03-29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