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여기] 폭력적 성폭력 보도… 케테 콜비츠를 떠올리다/이두걸 경제부 기자

[지금&여기] 폭력적 성폭력 보도… 케테 콜비츠를 떠올리다/이두걸 경제부 기자

입력 2012-09-08 00:00
업데이트 2012-09-08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재작년 가을, 독일 베를린 출장길에 잠시 짬을 내 케테 콜비츠 미술관을 찾았다. 콜비츠의 시선은 항상 고통받는 이들, 특히 어린이들에게 머물렀다. 그녀는 1, 2차 세계대전에서 생때같은 아들과 손자를 잃었다. 평생 반전과 평화에 천착했던 것은 자식 잃은 어미의 구곡간장이 끊어지는 고통을 체험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미지 확대
이두걸 경제부 기자
이두걸 경제부 기자
그러나 그녀는 날카로운 에칭 판화 대신 따뜻한 목판 소묘로 아이들을 묘사했다. 작품 속 아이들은 비록 배고픔과 두려움에 떨고 있지만 그 또래만의 사랑스러움을 머금고 있다.

‘씨앗들이 짓이겨져서는 안 된다.’ 콜비츠의 대표작이자 요즘 우리 사회에서 터져나오는 목소리이기도 하다. 하지만 아동 성폭행 사건을 접하는 우리들에게서는 ‘살아남은 자들’에 대한 예의를 찾기 어렵다. 피해자가 몇 ㎝의 상처를 입었고, 어떤 수술을 받았는지가 초미의 관심사다. 피해자가 뒤바뀌었다는 뒷이야기도 친절하게 전한다. 과거에 같은 상처를 입은 당사자와 가족들을 찾아 ‘부관참시’하는 것도 예사다.

기사의 존립 근거는 무의미해 보이는 사실들 너머 숨어 있는 진실, 곧 생명을 지켜야 한다는 가치를 보여주는 데 있다. 가치를 망각한 사실들은 피해자들을 두번 울리는 폭력이 될 수 있다. 성폭력 문제가 우리보다 훨씬 심각한 프랑스 등 유럽권 언론들이 성폭력 발생에 대해서는 단신으로 다루되 처벌 수위를 높일 것을 강하게 주장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일 것이다.

미국 평론가 수전 손택의 명저 ‘타인의 고통’ 한국어판 표지에는 콜비츠가 평소 존경했던 스페인 화가 프란시스코 고야의 작품이 배경으로 실려 있다. 연작 ‘전쟁의 참화’ 중 ‘더 이상 안돼’라는 그림이다. 나무에 목매달려 죽은 시체를 한 중년 남성이 무심히 바라보고 있는 장면이다. 우리가 그 남성과 겹쳐지는 것 같아 순간 부끄러워진다. 손택의 다음 문장을 되새기며 반성한다.

“특권을 누리는 우리와 고통을 받는 그들이 같은 지도상에 존재한다는 것, 우리의 특권이 그들의 고통과 연결돼 있다는 사실을 숙고하는 것, 이것이야말로 우리의 과제다.”

douzirl@seoul.co.kr

2012-09-08 2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