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농업 ‘非’협동조합/김양진 경제부 기자

[오늘의 눈] 농업 ‘非’협동조합/김양진 경제부 기자

입력 2012-10-25 00:00
업데이트 2012-10-25 0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 김양진 경제부 기자
▲ 김양진 경제부 기자
10여년 전 4곳이었던 전북 순창 대가리의 점방(店房)들은 단 한 곳도 남아 있지 않다. 경남 남해 장돌림들은 5일장이 열리는 날에도 낮 12시면 짐을 싼다. 지금 이들의 기능을 대신하는 것은 농협에서 운영하는 하나로마트(클럽)다. 일부 영세상인들 사이에서 농협마트는 이미 ‘적’이다.

“기업형 슈퍼마켓(SSM)이 아니라 더한 것인들 왜 못하겠나.” 지난 15일 김수공 농협경제지주대표의 기자간담회 때 농협의 한 고위관계자가 한 말이다. “신·경(신용사업과 경제사업) 분리의 가장 큰 목표는 판매 농협의 강화”라는 말도 여러 차례 되풀이했다. 하지만 농협 사업구조 개편과정에 관여했던 평가위원들조차 이렇게 해서 얻는 이윤이 농가나 농촌으로 제대로 흘러갈지, 그 방식은 농협의 설립취지에 맞는지 등에 대해 우려하고 의구심을 제기하고 있다.

농협의 주장대로 하나로마트에서 공산품을 팔지 않으면서 농촌 주민들은 생필품 구입마저 어려워진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애초 하나로마트를 열 때 시골 점방들이 파는 품목은 취급하지 않았더라면 어땠을까. 농협 측은 의무휴업 대상에 해당되는 3000평 이상 대형 하나로마트가 전국에 14개밖에 안 된다고 억울해한다. 하지만 규모 대신 지역상권에 미치는 실질적 영향력을 따졌다면, 협동조합의 본디 정신을 따져 지역 상생에 좀 더 힘썼다면, 사정은 조금 달라지지 않았을까.

1957년 도입된 농업협동조합법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글귀가 ‘국가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이다. 다 함께 잘살자는 얘기다. 대선주자들이 앞다퉈 ‘경제민주화’를 공약으로 내걸고 협동조합을 언급하는 이유다. 명문대학·대기업·고액연봉 등으로 상징되는 경쟁사회에서 피로감을 느끼는 국민에게 ‘1인 1표주의’ 같은 협동조합의 비경쟁적·민주적 원칙은 매력적으로 다가갈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협동조합인 농협은 과연 이 기본정신을 얼마나 구현하고 있을까. SSM보다 더한 것도 마다하지 않겠다는 농협에, ‘농업’이나 ‘협동’이라는 이름표는 거추장스럽게 보여진다.

ky0295@seoul.co.kr

2012-10-25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