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여기] 박찬호가 내게 남긴 것/김민희 체육부 기자

[지금&여기] 박찬호가 내게 남긴 것/김민희 체육부 기자

입력 2012-12-08 00:00
업데이트 2012-12-0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민희 체육부 기자
김민희 체육부 기자
겨울은 일찍 찾아왔다. 11월의 마지막 날 서울시청 광장에는 메마른 바람이 불었다. 박찬호(39)의 은퇴 기자회견장으로 가는 내 마음도 겨울 같았다. 18년 전 LA다저스 유니폼을 입고 전력투구하던 모습, 그 화려함에 열광했던 또래 아이들의 황홀한 얼굴이 눈에 선한데 그는 어느 새 불혹의 나이에 은퇴를 선언했다. 쏜살같이 지나 버린 그 오랜 세월을 되돌아보며 나는 만감이 교차했다. 그는 오죽했을까.

원래부터 달변 축에 끼지는 못했지만 그날따라 박찬호는 말을 잘 이어 가지 못했다. 누구라도 그랬을 것이다. 전쟁터나 다름없는 메이저리그, 냉혹한 프로의 세계에서 버텨 온 게 19시즌이다. 그동안 쌓인 한숨과 회한, 좌절과 찰나의 환희를 어느 누가 조리 있게 말할 수 있겠는가.

그날 그가 했던 많은 말 중에 내 가슴을 울린 건 단 한마디였다. 자기 자신에게 무슨 말을 해 주고 싶으냐는 질문에 박찬호는 “장하다는 말을 해 주고 싶다. 뭔가를 이뤄 내서가 아니라 (그동안) 잘 견뎌낸 것에 대해 수고했고 장하다는 말을 하고 싶다.”고 했다. 이 말을 들으면서 어떤 분야에서든 최고의 경지에 오른 사람이 인생을 바라보는 깊이는 대단하다고 느꼈다.

사람들은 어떤 일을 시작하면 목표를 성공에 둔다. 잘하고 싶다는 마음이 앞서는 게 인지상정이다. 현실은 드라마와 달라서 풋내기가 처음부터 맡은 임무를 잘할 수는 없다. 풋내기는 좌절한다. 일을 그만두고 방황하기도 한다. 그러나 경지에 오르기 위해서는 반복되는 이 과정을 견뎌야 한다. 말하자면 ‘통달을 위한 양질 전환의 법칙’이라고나 할까. 고통이 어느 정도 쌓여야 실력으로 전환된다는 것이다.

박찬호는 한국인 첫 메이저리거라는 화려한 타이틀을 자랑스러워하지 않았다. 오히려 트레이드와 방출, 마이너리그 시절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오뚝이처럼 재기한 자신의 모습을 자랑스러워했다. 지난한 세월을 견뎌야 비로소 레전드가 된다는 걸 박찬호는 알고 있었다. 박찬호가 깨우쳐 준 사소하지만 날카로운 진리를 마음속에 끌어안고 내년에도 나는 버텨 보련다. 세월이 연마한 고통에는 광채가 따르는 법이니까.

haru@seoul.co.kr

2012-12-08 2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