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시대] 충청인의 작은 행복 찾기/이재은 충북대 행정학과 교수

[지방시대] 충청인의 작은 행복 찾기/이재은 충북대 행정학과 교수

입력 2013-07-23 00:00
업데이트 2013-07-2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재은 충북대 행정학과 교수
이재은 충북대 행정학과 교수
우리의 일상생활 속에는 작은 행복들이 숨어 있다. 특히 아이들의 표현 속에는 팍팍한 삶에 윤활유 역할을 하는 아주 작은 웃음들이 숨어 있는 것 같다.

우리말 표현 중에 내일 모레의 다음 날을 뜻하는 말이 무엇인지 아는가. 대부분의 어른들은 쉽게 ‘글피’라고 답할 것이다. 그러면 글피의 다음 날은 무엇일까? 정답은 ‘그글피’다. 이번에는 반대로 어제의 전날은 그제, 그제의 전날은 무엇일까? 이 또한 어른들은 ‘그끄제’라고 답할 것이다.

며칠 전, 가족들이 이야기를 하고 있었다. 초등학생인 막내가 ‘내일 모레 내일’에 학교에서 현장 학습을 간다는 말을 하는 순간, 약간의 간격을 두고 가족 모두 작은 행복감을 느꼈다. 확신을 갖고 말하는 아이가 예뻤고 그 표현이 정말로 기발했다. 어느 집에서나 막내는 집안의 웃음꽃이리라.

일반 가정에서 작은 행복을 찾기란 그리 어렵지 않다. 가족 간에 사랑이 있고 서로를 배려하는 마음이 있다면, 바깥세상이 힘들더라도 집안에서만큼은 작은 행복으로 재충전할 수 있다.

지역사회도 가정과 다르지 않다. 지역공동체의 삶은 역사를 공유하고 같은 지역민이라는 정체성을 갖고 함께 잘 살아 보자고 노력하는 모습이기에 아름다운 것이다. 그나마 오랜 세월 동안 경쟁과 협력의 틀 속에서 어느 한 곳이 성장하면 기꺼운 마음으로 박수를 보내고, 안타까운 일이 생기면 작은 위로나마 전하고 싶은 마음이었을 것임은 분명하다. 그러기에 작은 국책사업이라도 어떻게 하면 서로 함께 할 수 있을까 상의도 하는 것이다. 특히 다른 지역들에 비해 정치력도 없고, 인구도 적고, 힘도 없고, 돈도 없는, 그야말로 서로의 어깨 빼고는 비빌 곳도 없는 지역이 바로 충청도다.

얼마 전, 충청지역민들의 작은 행복을 박탈하는 일이 있었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수정안이 그것이다. 평범한 사람들은 거점지구와 기능지구가 뭔지 잘 알지도 못하고, 또 그것이 우리 지역이나 가정에 얼마나 많은 도움을 가져올 것인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대전, 충남, 충북, 세종이 함께 잘 살 수 있는 기반이 되고 우리나라 발전에도 도움이 된다고 해서 충청인으로서의 관심과 애정을 갖고 지켜봤던 것이다.

같이 시작했으면 끝을 내든 바꾸든 한 마디 상의는 있었어야 하는 것 아닌가 하는 서운함과 배신감이 드는 것이 인지상정이다. 하다 못해 가족 여행을 가더라도 행선지며 숙박이며 음식까지도 서로 상의한다. 더군다나 수정안이 국가에 더 도움이 된다고 하면서도 미리 상의하면 안 될 이유가 있었던가. 500만 충청인들을 국가차원에서는 생각을 못하는 지역이기주의자로만 보는 것인지 의아하기까지 하다.

국가의 과학정책을 사회적 논의 없이, 더군다나 힘을 합쳐 제대로 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한 번 만들어 보자고 협력을 한 친구들에게는 한 마디 상의도 안 한 친구들이 안타까울 뿐이다. 조금이라도 서로에 대한 사랑과 믿음, 배려가 있었다면 이처럼 많은 배신감과 분노는 없었을 것이다. 이제는 힘없고 백 없는 소시민들의 작은 행복마저도 소수가 독점해 버리는 세상이 되었나 보다. 지금이라도 함께하면 많은 사람들이 행복할 텐데.

2013-07-23 3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