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의 소리] 장애인 고용, 나눔으로 실천하자/황보익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충북지사장

[독자의 소리] 장애인 고용, 나눔으로 실천하자/황보익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충북지사장

입력 2014-11-29 00:00
업데이트 2014-11-29 00: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빨리 가려면 혼자 가고,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는 아프리카 속담이 있다.

대기업들은 ‘나눔 실천’ 을 내걸고 독거 노인 및 소년소녀 가장 지원 사업, 장애인, 다문화 가정 지원 사업 등을 하고 있다.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기업과 사회가 동행하는 모델을 구축해 기업 이미지 개선뿐 아니라 함께 나누며 실천하기에 더 빨리 더 멀리 갈 수 있다고 한다. 금융위원회에서는 최근 은행권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기 위해 장애인, 여성, 고졸, 시간 선택제 일자리 창출 규모 등을 평가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법으로 규정된 장애인 의무 고용률은 정부부문 3.0%, 민간기업체 2.7%이다. 하지만 실제 장애인 고용률은 2.48%에 불과하다. 30대 기업은 1.90%로 매우 저조하고 금융업계는 1.51%로 더 낮다.

이런 상황에서 소외계층을 위한 나눔 실천이니 착한 금융이니 하는 것은 기업과 금융업계의 생색내기용 주장이라고 생각할 수밖에 없다.

장애인 고용은 국가경쟁력 강화와 기업 이윤, 윤리 구축에 도움이 된다. 장애인 일자리 창출이야말로 진정한 ‘나눔 실천’의 매우 중요한 요소다. 12월 3일은 스물두 번째 맞는 ‘세계장애인의 날’이다. 세계가 동행하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장애인도 노동시장에서 세금을 내는 국민으로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업의 장애인 고용에 따른 ‘나눔 실천’을 기대해 본다.

황보익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충북지사장
2014-11-29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