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窓] 인생 스케치/김진 가톨릭 의대 해부학교실 교수

[생명의 窓] 인생 스케치/김진 가톨릭 의대 해부학교실 교수

입력 2014-12-13 00:00
업데이트 2014-12-1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진 가톨릭의대 해부학교실 교수
김진 가톨릭의대 해부학교실 교수
타고난 재능을 충분히 발휘하고 인생을 살다 간 사람들이 얼마나 될까. 중학교 때까지 나는 우등상은 물론 개근상조차 받아 본 적이 없는 조용하고 평범한 부류의 학생이었다. 그러다가 중학교 2학년 때 교내 미술대회에서 대상을 받았다. 교외의 큰 사생대회도 아닌 그저 지방 중학교의 작은 행사에 불과했지만, 전혀 기대하지 않았던 그때의 사건(?) 이후 나는 “취미는 미술이고 꿈은 미술가”라고 자랑스럽게 말했다. 마냥 무채색이었던 내 학창 생활이 화려하게 채색되던 순간이었다.

“취미로 하기엔 미술학원에 너무 오래 다니는 것 아니냐.” 고등학교 2학년 무렵 아버지께서 불쑥 질문을 던지셨다. 그때는 미술가로서의 장래를 구체화하고 있었기에 무엇을 물으시는지 몰라 의아해하던 나에게 “미대에 갈 생각이냐”고 하셨다. “미술 선생님이 미대에 가도 된답니다”라며 미대 진학에 대한 희망을 둘러 대답한 나에게 “네 생각에 자신이 천재적인 소질이 있다고 생각하느냐”고 되물으셨다. 그림에 대한 천재적인 소질은 없다고 대답했다. “그럼 미대에 가지 마라. 천재적인 재능이 있는 사람들끼리 경쟁을 해도 밥 먹기 힘든 세상이다. 결혼해서 생길 가족을 생각하거라. 너는 좋아하는 일을 하여 좋을지 몰라도 너를 쳐다볼 가족은 무슨 죄가 있겠느냐.” 자식의 앞날에 대한 걱정으로 오랫동안 지켜보시던 아버지의 그 짧은 한마디로, 미술이 내 삶의 목표가 아니라 취미가 되는 순간이었다.

이루지 못한 꿈 때문이었을까. 진로에 대한 고민의 시간을 거쳐 재수 끝에 의대에 진학한 나는 주저없이 미술반에 가입해 전공이 의학인지 미술인지 모를 의대 생활을 보냈다. 의사가 된 후 현미경에 비춰진 세포와 조직의 형태를 관찰하고 연구하는 해부조직학 학자가 돼 취미를 곧 생업의 일부로 삼게 됐다. 결국 아버지께서 바라셨던 대로 대학교수로서 안정적(?)인 생활을 해 왔다. 그렇게 살아온 40년, 아직까지 그림에 대한 탁월한 능력이 발휘된 기억이 없는 걸 보면 내게 미술에 대한 천부적 재능이 없다는 걸 알아채신 아버님 말씀은 백 번 옳은 것 같다. 많은 사람들이 자기만이 할 수 있는 그 무언가를 찾아 허송세월을 보내며 ‘진정한 자기의 삶’을 이루지 못하는 것을 보아 오면서, 자기만이 할 수 있는 무언가를 찾는 일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깨닫게 됐다.

은퇴를 몇 년 앞두고 인생의 제3장을 어떻게 그릴까 다시 스케치 작업을 하고 있다. 이제까지 걸어온 발자취, 주고받았던 사랑, 삶의 마지막까지 함께할 인연, 이 모든 것들을 작은 화폭에 아름답게 담아 보려 한다. 먹고살기 위해 있지도 않은 천재성을 인위적으로 짜내야 하는 고뇌의 시간은 아닐 테니 하늘에 계신 아버지께서도 늙어 가는 아들의 작은 꿈은 허락하실 것 같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끝낸 수험생들이 자신의 미래를 위한 전공을 정해야 하는 시기가 됐다. 고3 수험생 학부모들은 입시학원들이 구축한 방대한 정보들이 제시하는 길로 자녀들을 수험생들의 꿈과 재능과는 별로 관련 없는 인기 대학과 학과로 인도한다. 한 치의 오차도 허락하지 않는 디지털 시대의 단면인 셈이다. 하지만 이런 첨단의 시기에도 자식이 받아들일 수 있을 때를 기다려 조심스레 건네시던 아버님의 사랑 담긴 말씀 한마디가 그리워지는 건 왜일까. 우리의 아이들이 그리게 될 ‘자기의 삶’이라는 작품을 고뇌의 시간을 통해 그려 낸 수없이 많은 밑그림을 통해 멋지게 작품으로 완성할 수 있도록 믿고 기다리고 사랑으로 지켜보는 것이 바로 부모의 역할이 아닐까 싶다.
2014-12-13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