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부즈맨 칼럼] 천안함 침몰사건 보도의 과제/심재웅 한국리서치 상무이사

[옴부즈맨 칼럼] 천안함 침몰사건 보도의 과제/심재웅 한국리서치 상무이사

입력 2010-03-30 00:00
업데이트 2010-03-30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26일 저녁 백령도 인근 해역에서 아직 밝혀지지 않은 원인으로 우리 해군의 초계정 천안함이 침몰한 것은 놀라운 사건이다.

이미지 확대
심재웅 한국리서치 상무이사
심재웅 한국리서치 상무이사
침몰사건이 발생한 장소도 장소려니와 천안함에 승선한 104명의 해군 장병 중에서 46명이 실종되어 아직 생사가 확인되지 않아 승선 장병 가족들의 절박함과 온 국민의 안타까움을 더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천안함에서 폭발음이 발생한 시간은 금요일 저녁 9시30분경이었고 천안함이 침몰한 것은 그로부터 3시간30여분이 지난 토요일 새벽 1시경이었다고 한다. 천안함 침몰 사건은 토요일 자 신문의 편집이 1차로 마감되어 인쇄에 들어갈 시점에 발생하였다. 신문제작의 관점에서 보면 사건이 돌발적으로 발생하여 취재와 기사작성, 편집과 조판의 시간적 여유가 매우 촉박한 시점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토요일 새벽에 배달된 서울신문은 금요일 늦은 저녁에 발생한 천안함 침몰사건을 신속하게 다루어 1면 머리기사와 2·3면의 상세보도로 사건의 중대함에 걸맞은 보도를 하였다. 1200t이나 되는 해군 함정이 원인불명의 폭발음을 낸 후 침몰하였다는 사건 자체의 성격이나 사건이 발생한 시간과 장소의 특수성으로 인해 현장 상황이나 사건의 정황을 군 당국과 정부의 발표에 전적으로 의존할 수밖에 없는 초동 보도의 제약요인에도 불구하고 토요일 자 서울신문의 보도는 적절하였다고 본다.

토요일 자 신문에서 천안함 사건과 관련한 3컷의 사진을 선택하여 배치한 것도 적절하였다. 자료사진의 원본 크기를 확대하는 과정에서 해상도가 다소 떨어지는 흠은 있었지만 천안함 사진을 1면에 실은 것이나, 사건 발생 이후 대통령이 긴급하게 소집한 안보장관회의의 사진과 합동참모본부의 기자회견 장면 사진을 배치한 것은 사건의 중대함과 현장의 긴박감을 생생하게 전달하는 효과가 있었다.

토요일 자 초동보도에서 가장 아쉬운 대목은 천안함 사건과 관련한 그래픽의 선택과 편집이었다. 우선 천안함이 침몰한 장소가 군사적으로 민감한 백령도 부근 해역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정확하게 어느 지점에서 사건이 발생하였는지는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서울신문은 토요일 자 1면에 침몰지점을 표시한 사진을 배치하기는 하였지만 지도의 크기가 작은 편이어서 침몰장소가 백령도 남서쪽 1.8㎞라는 구체적인 사건현장을 표기하기에는 부족한 느낌을 주었다.

또 다른 문제는 3면에 실린 ‘북한 서해안 배치 미사일 해안포 제원’에 관한 그래픽이다. 기사 본문의 어디에도 천안함의 침몰이 북한의 미사일이나 해안포와 연관되었다는 언급은 없다. 오히려 3면의 머리기사는 군 관계자의 말을 인용하여 “최소한 북으로부터 미사일이나 포 공격은 없었다.”고 전하고 있다. 기사의 내용과 그래픽의 선택이 어긋났지만, 최종판(21판)에서 바로잡은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신문이 발행되지 않는 주말에 인터넷과 방송매체는 천안함 침몰 사건의 원인이 무엇인가에 대한 여러 가지 의견과 아직 명확하게 확인할 수 없는 추측성 보도로 봇물을 이루었다. 천안함이 침몰한 정확한 원인은 선체를 인양하여 정밀 감식을 하기 전에는 누구도 확실하게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확실한 원인이 밝혀지기까지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는 만큼 확인되지 않은 추측성 보도는 앞으로도 논란거리가 될 전망이다.

신문매체는 하루 1회 발행이라는 매체 주기 때문에 속보성과 현장감에서 인터넷이나 방송매체에 비해 불리한 점도 있지만 정확하고 깊이 있는 보도를 통하여 독자들에게 신뢰를 줄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천안함 침몰의 원인을 둘러싸고 인터넷 등의 공간이나 다른 매체에서 추측성 보도나 감정에 치우친 보도를 하는 경향이 있더라도 서울신문만큼은 차분하고 치밀하게 취재하여 독자들에게 전달하여야 한다는 소명을 다하기 바란다.
2010-03-30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