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부즈맨 칼럼] ‘신(新) SOC’가 지식 유통속도 높인다/박제국 행정안전부 인력개발관

[옴부즈맨 칼럼] ‘신(新) SOC’가 지식 유통속도 높인다/박제국 행정안전부 인력개발관

입력 2012-03-14 00:00
업데이트 2012-03-14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박제국 행정안전부 인력개발관
박제국 행정안전부 인력개발관
지난해 전북 김제의 한 마늘밭에 숨겨둔 떳떳하지 못한 현금 110억원이 발견되어 화제가 된 적이 있다. ‘돈’은 돌고 돌아서 ‘돈’이라고 한다고 하듯이, 자본주의 경제에서는 투자할 돈을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돈이 적절히 옮겨다님으로써 경제가 성장하고 돈의 가치가 더욱 발휘된다. 오늘날 지식도 돈과 마찬가지로 이를 필요한 사람이 활용할 수 있게 될 때, 더욱더 나은 가치를 창출하고 사회가 발전하게 된다.

최근 언론 보도에 의하면 미국 시카고의 상품거래소에서 미국·일본·유럽 등 47개 도시의 날씨와 관련된 상품이 거래되고 있으며, 그 규모가 2008년도에만 37조여원에 이른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를 벤치마킹하여 금융시장에서 날씨 관련 파생상품을 도입할 것이라고 하니, 바야흐로 이제 지식과 정보도 시장에서 가격을 매겨 사고파는 시대가 된 것 같다. 경영에 지식을 활용하는 것은 이미 오래전부터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보아 오던 현상이다. 대규모 연구개발 투자를 필요로 하는 제약업과 같은 분야에도 과거에는 필요한 기술을 자체 연구소 등을 통해 모두 자급자족하였으나, 오늘날에는 기술개발 비용과 실패에 따른 부담을 줄이는 데 필요한 기술을 시장에서 사고파는 ‘오픈 이노베이션’ 전략이 보편화되고 있는 것도 지식이 상품처럼 시장을 통해 거래되는 새로운 트렌드의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오늘날 인터넷의 눈부신 발달로 지식의 전파속도는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빨라졌으며, 공유의 범위도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었다. 마치 기업들이 필요한 자금을 주식공모를 통해 끌어 모아 새로운 사업에 투자하고 수익을 내듯이, 이제는 대규모 지식이라도 짧은 시간에 개개인들로부터 끌어 모아 협업을 통해 집단지성을 창출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그뿐만 아니라 1인 미디어의 발달은 전통적 언론매체가 독과점하던 정보와 지식 생산자적 지위를 약하게 하는 등 그동안 수동적으로만 평가되던 일반 대중이 이제는 ‘지식의 창조자’, ‘여론의 주도자’로 탈바꿈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의 지식거래 시장과 제도는 과연 이러한 변화를 충분히 따라가고 있는가?

지식의 독점 때문에 필요한 곳에 지식이 활용되지 못하고 잠자고 있다면 그 사회의 발전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위조지폐를 만들어 사용하면 처벌받듯이 인터넷에 고의로 거짓정보를 올리면 안 된다는 인식을 가져야 하지만, 현실에서는 그렇지 못하다. 확인되지 않은 정보나 주장을 누구나 인터넷에 마음대로 올리고 있지만 그 진위를 확인하는 과정도 없고, 나중에 거짓이 드러나더라도 책임을 논하기보다는 표현의 자유를 유지하려면 부득이 지급해야 하는 작은 대가인 것처럼 치부하기 일쑤이다. 지금 우리는 지식의 유통속도를 높이기 위한 새로운 대규모 투자와 함께 신뢰하기 어려운 지식을 식별해 낼 수 있는 사회적 시스템을 동시에 필요로 하고 있다.

1970년대 눈부신 경제성장의 기틀이 되었던 것이 고속도로나 발전소 건설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사회간접자본(SOC) 구축이었다면, 앞으로는 국민 누구나 필요로 하는 지식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이를 신뢰하고 풍부하게 활용함으로써 세계와 경쟁할 수 있는 지식거래환경을 필요로 하고 있다. 지식의 유통속도를 높여줄 수 있는 환경이야말로 오늘날 우리가 준비해야 할 사회간접자본, 즉 ‘신(新)SOC’일 것이다.

어떻게 하면 우리 사회가 더 풍부한 지식을 보유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 더욱 많은 관심과 노력을 하였으면 한다. 그것은 댐과 같은 풍부한 지식 콘텐츠의 저장고일 수도 있고, 고속도로같이 빠르게 지식을 전달할 수 있는 교통망일 수도 있으며, 거짓 엉터리 지식을 식별해 내고 필요한 지식에는 정당한 가격을 보상하는 시장시스템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지식기반사회를 이끌어 가는 서울신문이 앞으로도 선도적인 구실을 하기를 기대한다.

2012-03-14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