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부즈맨 칼럼] 함께 이기는 법/이소영 서울대 소비자아동학과 4년

[옴부즈맨 칼럼] 함께 이기는 법/이소영 서울대 소비자아동학과 4년

입력 2012-12-26 00:00
업데이트 2012-12-2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19일, 제18대 대통령 선거가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의 당선으로 마무리됐다. 박 당선인은 국민 대통합을 이끌어 내겠다고 다짐했고,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 역시 통합의 정치를 당부했다.

이미지 확대
이소영 서울대 소비자아동학과 4년
이소영 서울대 소비자아동학과 4년
하지만 대선에 임했던 후보자들의 바람과는 다르게, 민심은 통합은커녕 반토막이 난 상황이다. 투표율 75.8%에 51% 대 48%, 108만 표 차이. 최근의 선거들과 비교했을 때 비교적 높은 투표율과 적은 득표율의 차이, 선거전 당시의 적극적인 이념 공세로 인해 대선이 끝난 후에도 국민 간의 ‘대결’ 구도는 가시지 않고 있다. 지역에 따른 투표 경향도 여전한 데다 이번 대선에서는 2030세대와 5060세대 간의 차이도 극명히 드러났다.

선거가 열성적으로 치러진 만큼 낙선한 후보를 지지한 유권자들의 실망은 여느 때보다 크다. 서로 다른 후보를 지지해 헤어졌다는 연인의 이야기도 주변에서 심심찮게 들을 수 있다.

대선 결과에 실망해 생업을 휴업하고 나선 사람부터, 대선 후 일주일이 지난 지금까지 불면증과 식욕 부진에 시달리는 사람도 있다. 많은 이들이 말 그대로 ‘선거 후 스트레스 증후군’을 겪고 있는 셈이다(12월 22일자).

대선의 후폭풍은 심리적인 데에만 그치지 않았다. 문 후보에 대한 지지가 압도적으로 높았던 광주에는 이념 공세와 조롱이 쏟아지고 있고, 노인들이 박 후보를 지지하는 것을 보니 국민 복지를 달갑게 생각하지 않는 것 같으니 무임승차제를 폐지해 달라(12월 24일자)는 집단 청원이 제기되는 등 분열의 양상이 심각하다. 대선의 여파가 국민 갈등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번 대선을 ‘통합’의 선거라고 하기에는 확실히 무리가 있겠다. 물론 누군가가 당선되면 누군가가 낙선하기 마련이고 지지자들의 환희와 실망도 어쩔 수 없는 일이다. 하지만 선거 이후까지 이러한 경향이 계속되는 것은 다소 위험한 일이다.

그래서 더욱 힘주어 말하고 싶다. 대통령 선거에서 패배한 국민은 아무도 없다. 낙선한 문 후보는 선거 결과에 대해 “저의 실패이지 새 정치를 바라는 모든 분들의 실패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가 말했듯, 이번 선거는 한 당과 후보자의 승리이고 패배이지 그를 지지한 일부 유권자의 승리 혹은 패배가 아니다.

분열을 넘어 국민 전체의 승리로, 상생과 공존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언론의 역할이 결정적이다. 당선자가 확정된 만큼 대선 이전의 경마식 보도와 대선 직후의 국민 분열 묘사는 이제 멈춰야 한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앞으로의 과제에 대한 보도다. 12월 24일자 기사인 ‘‘미래 수혜자들’ 당선인에게 바란다’나 ‘박근혜 정부시대 정책분석’(12월 21일자) 기사와 같이, 누구를 지지했느냐와는 관계없이 진정 모든 이의 꿈이 이뤄질 수 있는 나라를 만들기 위한 노력을 보여주길 바란다.

이러한 보도가 대선 전 ‘내게 대선은 [ ]다’ 연재(10월 30일자)와 같이 보다 세밀해질 수 있다면 더욱 좋을 것이다. 선거 보도에만 그칠 것이 아니라 미래를 위한 전망을 제시하고, 박근혜로 대표되는 시대정신에 열광 혹은 비판했던 이들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어야 한다. 대선 후의 폐허에서 조각 난 민심을 끌어모아 함께 앞으로 나아갈 발판을 만드는 것이 분열의 시대에 언론이 해야 할 일이다.

후보 간의 싸움은 끝났다. 이제는 국민의 새로운 싸움이 시작될 것이다. 누구를 지지했느냐와 관계없이, 우리는 새로운 대통령의 공약 이행을 요구하고 잘못된 점에 대해서는 문제를 제기해 가면서 자신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투쟁을 해 나가야 할 때다.

오직 선거 때만 자유로운 국민이고, 선거가 끝나면 다시 노예가 된다는 루소의 굴레를 이제는 끊어내야 한다. 대통령은 모든 것을 할 수는 없지만 모든 것을 망칠 수도 없다. 앞으로 5년간 우리네 삶이 긍정적으로 변한다면 우리 모두는 승리한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아직 승리하지도, 패배하지도 않았다. 대선 승리를 향한 여정은 이제부터 시작이다.

2012-12-26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