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eye]아동의 눈높이로 우리들의 이야기를 들어주세요/이윤채 초록우산아동기자단

[아이eye]아동의 눈높이로 우리들의 이야기를 들어주세요/이윤채 초록우산아동기자단

박재홍 기자
박재홍 기자
입력 2019-07-07 18:33
업데이트 2019-08-13 09: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윤채 초록우산아동기자단
이윤채 초록우산아동기자단
지난해에 우리 학교에서 있었던 일이다. 우리 학교 화장실은 공용 세면대를 사용한다. 그래서 세면대에서 남자 화장실을 바라보면 칸막이가 작아서 소변을 보는 친구들의 뒷모습이 보였다. 그런데 그 부분이 부끄럽고 불편했다. 그래서 우리 학교 여학생들이 교장선생님을 찾아가 불편한 상황을 이야기했더니 남자 화장실 입구에 커튼이 설치됐다. 이후로는 세면대에서 소변을 보는 친구들의 뒷모습이 보이지는 않게 되었다. 이 일로 난 우리의 권리가 침해당했을 때 친구들, 어른들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면 바뀔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교 6학년이 되면서 전교부회장을 맡은 나에게 친구들이 학교에 대해 불편한 점을 이야기하면서 어른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더 많아졌다. 어른 눈높이로 만들어진 모든 것들이 우리 눈높이에서는 불편하기 때문이다. 우리 학교 화장실에는 화변기가 4개, 양변기가 1개 있다. 양변기는 장애인 전용이다. 그래서 화변기를 사용하는데 너무 불편하다. 가끔 다리에 쥐가 나기도 하고 다리가 아프다. 그래서 얼마 전 학교에서 화변기가 편한지 양변기가 편한지를 조사했는데 우리 반의 90%가 양변기가 편하다고 했고, 여학생 중 몇 명이 적극 건의해 학교에서 화변기를 양변기로 교체했다.

앞으로도 더 바뀌어야 할 것들을 이야기 하려 한다. 친구들은 신발장 위치가 우리의 키와 달라서 불편하다고 한다. 신발장은 번호 순서대로 학년과 키 순서에 상관없이 정해진다. 저학년과 고학년의 키는 다르다. 그런데 고학년이어도 키가 작은 친구도 있다. 키가 큰 친구들은 신발장 윗칸 사용이 문제가 없지만 반대로 키가 작거나 저학년인 경우 윗칸을 사용하기가 불편하다. 우리 한명 한명의 키를 고려해 신발장 위치를 배려해 줬으면 좋겠다. 급식소에서 저학년 동생들이 밥을 먹을 때도 조금 불편한 것 같다. 1학년의 경우 젓가락 사용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학교에 포크가 있지만 유치원생들이 사용하기 때문에 1학년이 사용할 수는 없다. 1학년 전용 포크나 어린이용 수저가 생기면 동생들이 좀 더 편하게 밥을 먹을 수 있을 것 같다.

학교는 우리가 주말을 제외하고 매일 가는 곳이고, 많은 시간을 보내는 장소이다. 그렇기 때문에 어린이의 의견이 반영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학교에서 학교에 필요한 것을 구입하거나, 학교를 만들 때 우리 의견을 많이 물어봐주고, 또 반영해 준다면 학교가 더 즐겁고 행복한 장소가 될 것 같다. 어른들이 우리들 눈높이로 세상을 본다면 아동이 행복한 세상이 될 것이다.



*서울신문은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과 함께 어린이, 청소년의 시선으로 사회 현안을 들여다보는 ‘아이eye’ 칼럼을 매달 1회 지면에, 매달 1회 이상 온라인에 게재하고 있습니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