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빛 발견] 삶 속의 ‘은유’/이경우 어문부장

[말빛 발견] 삶 속의 ‘은유’/이경우 어문부장

이경우 기자
입력 2019-06-12 21:04
업데이트 2019-06-13 10: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 마음은 호수요.” 전형적인 ‘은유’다. ‘내 마음’은 달리 표현하면 ‘호수’와 같다는 것이다. 은유는 이처럼 어떤 개념이나 움직임을 다른 말로 알려 주는 일을 말한다. 문학 용어로 효과적이고 미적인 표현을 위해 말과 글을 꾸미는 방법의 하나였다.

이 은유에서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의 조지 레이코프는 다른 발견을 한다. 그는 은유를 단지 문학적 수사법으로만 파악하지 않았다. 우리의 사고 과정이 거의 은유적이라고 한다. 사건이나 사실, 대상을 알 때 대부분 은유를 통한다는 것이다. 그가 새로이 말하는 은유는 대상을 인지하는 원리였다.

일상의 곳곳에 이런 작용을 하는 은유가 널려 있다. 이권을 목적으로 부정하게 주고받는 돈을 흔히 ‘뇌물’이라고 한다. 그렇지만 ‘뇌물’이 ‘싫은’ 한쪽에서는 ‘떡값’이라는 말로 누그러뜨려 표현한다. 사실이 왜곡되는 틈을 만든다. 기업이 경영 실적이나 재정 상태가 실제보다 좋게 보이도록 재무제표의 수치를 조작하며, 부당하게 자산이나 이익을 부풀려 회계를 작성하면 ‘회계사기’이거나 ‘회계부정’, ‘회계조작’이 된다. 한데 오랫동안 ‘분식회계’라고 더 많이 했다. 사실을 흐리거나 감추고 덮는 은유다.

2019-06-13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