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일 사람과 향기] 자녀 교육의 출발은 안인이다

[김병일 사람과 향기] 자녀 교육의 출발은 안인이다

입력 2014-07-28 00:00
업데이트 2014-07-2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병일 도산서원 선비수련원 이사장
김병일 도산서원 선비수련원 이사장
요즈음 자녀문제로 속앓이 하는 부모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 어느 때보다 가정경제가 휘청거릴 정도로 사교육비를 부담하며 자녀교육을 열심히 했는데 왜 이렇게 됐을까? 곱씹어 볼 일이다. 그간 우리가 이룩한 국가발전과 풍요로운 삶은 높은 교육열 덕택이다. 지난 반세기 만에 자원도 자본도 신통찮은 나라가 세계가 찬탄하는 경제성장을 이룩하고 개인도 윤택하게 된 원동력은 ‘잘 교육받은 사람들’이 공급되었기 때문이었다. 이들이 ‘한강의 기적’의 자랑스러운 주인공들이다.

그런데 그 주인공인 오늘의 한국인들 삶은 어떠한가. 물질적으로 풍요하고 윤택하다고 삶이 과연 행복해졌는가. 한국인의 행복지수는 점점 뒷걸음질쳐 이제는 세계 100위 안에도 들지 못한다. 반면 자살은 점점 늘어간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9년째 1위이고, 2위와의 격차는 갈수록 벌어지고 있다. 특히 70, 80대 노인 자살률이 20, 30대 젊은이보다 5~10배 높다. 더구나 최근의 한 조사에 따르면 자신이 학대받고 있다고 응답한 노인들에게 누가 학대하느냐 물으니 85.7%가 가족이라 답하고, 그 가운데 가장 학대하는 사람은 누구냐는 물음에 아들이라고 한 대답이 51%에 달했다고 한다. 기가 막힐 노릇이다.

우리 사회에 왜 이런 문제들이 생겼을까. 기본으로 돌아가서 생각해보자. 물질의 문제가 아니라 사람의 마음의 문제다. 마음의 문제는 인간관계에서 비롯된다. 특히 가까운 사람과의 관계가 행복으로도, 불행으로도 이끈다. 부모를 학대하는 자녀가 생기는 근본 이유도 여기에 있다. 갓 태어난 아이는 아무것도 모른다. 자라면서 그렇게 되는 것이다. 자녀는 학교에 가기 전부터 부모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자란다. 세계 제일의 높은 교육열로 자녀를 교육시켰는데 왜 이 땅에서는 효자가 줄어들까.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서일까. 그동안 공부 잘하라는 지식교육, 남들에게 이겨야 된다는 일등 교육만 시켰기 때문이다.

사람다운 삶에 대해 가르쳐야 한다. 그동안 우리는 풍요와 윤택을 얻은 대신 사람답게 살아가는 길, ‘도리’(道理)를 잃어버렸다. 이것을 되찾아야 한다. 사람과의 관계가 중요하니 네가 먼저 다른 사람을 편안하게 대해야 한다(安人)는 인간존중의 인성교육이 중요하다. 그런데 인성교육은 말과 글로 안 된다. 아이들 앞에서는 냉수도 못 마신다고 했듯이, 아이들은 가르치는 사람의 행동을 보고 그대로 닮아간다. 솔선수범이 답이라는 뜻이다.

우리 조상들은 여러 자식을 낳고 어렵게 살았다. 하지만 자식 사랑은 그제나 이제나 여전했다. 충분히 먹이지도 못한 자식이 늦도록 공부할 때 대견하면서도 안쓰러워 ‘이제 그만 자거라’를 연발했다. 그러면서 당신은 새벽녘에 정한수 한 그릇 떠놓고 자식의 성공을 빌고 빌었다. 자신을 편안히 인격체로 대해주시는 이런 부모님을 보고 자란 자식이 효자가 되지 않을 수가 있을까. 또한 이렇게 할아버지 할머니에게 효도하는 부모를 보며 자란 그의 자식 역시 자연스레 효도하게 됨은 물론이다. 효자 집안에 효자가 생기는 이치다.

지금 우리는 그때에 비해 너무 이기적으로 살아간다. 부모도 뒷전이요 형제도 경쟁자가 되곤 한다. 제 자식 사랑은 인간뿐 아니라 동물도 모두 한다.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데에는 여기에 교육이 덧보태져야 한다. 그러면 어떻게 교육하여야 할까. 서너 살 된 아이도 자기의사가 분명하다. 부모가 이끄는 대로만 언제까지 따라오지 않는다. 사고와 자세의 전환이 필요하다.

겨레의 큰 스승 퇴계는 ‘훈몽’(訓蒙)이라는 한시에서 이에 대해 이렇게 일러주고 있다. 부모가 삼갈 일은 ‘많이 가르치는 것(多敎)’과 ‘회초리 매질(撻楚)’, ‘우매하다 꾸짖는 것(謂愚迷)’이요, 적극적으로 할 일은 자녀를 ‘크게 칭찬(大讚)’하고 ‘좋은 낯빛으로 대하는 것(顔好)’이라고 했다. 한마디로 내가 낳은 자식에게도 안인(安人)의 자세로 대하라는 것이다. 오늘날에도 곱씹을 만한 자녀교육의 출발점이 아닐까.
2014-07-28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