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법정 스님 무소유 흐리는 봉은사 잡음

[사설] 법정 스님 무소유 흐리는 봉은사 잡음

입력 2010-03-23 00:00
업데이트 2010-03-23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봉은사의 총무원 직영사찰화 배경을 둘러싼 논란이 정치권으로 비화하고 있다. 주지 명진 스님이 그제 대중법회에서 노골적으로 외압설을 꺼냈다. 자승 총무원장이 취임한 지 얼마 안돼 고흥길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장과 프라자호텔 식당에서 함께 만난 안상수 한나라당 원내대표가 자신과 관련한 압력을 행사했다는 게 핵심이다. 명진 스님은 당시 회동 때 오간 말을 전하면서 자신의 말이 거짓이라면 스스로 승적부에서 이름을 지우겠다며 물러서지 않을 태세다. 법정 스님 입적 후 온 나라에 신앙을 가리지 않는 ‘무소유’의 울림이 가득한 시점에서 터진 파열음이 안타깝기만 하다.

봉은사는 한 해 예산이 136억원에 달할 만큼 국내 최대의 재정규모를 갖는 사찰이다. 명진 스님의 전언에 따르면 안 대표는 “현 정권에 비판적인 강남 부자 절 주지를 그냥 두면 되겠느냐.”는 말을 입에 올렸다고 한다. 안 대표의 부인에도 불구하고 그간 명진 스님의 행적을 보면 유사한 발언이 있었을 개연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1986년 해인사 승려대회와 1994년 조계종단 개혁 분위기를 주도했던 명진 스님이다. 1000일 기도를 진행하던 중 노무현 전 대통령 장례식에 참석한 것이나 용산참사 현장을 방문해 1억원을 전달하는 등 불교계 안팎에서 관심의 대상이 돼 왔다. 그렇더라도 자승 총무원장과 안 대표의 만남이 이번 봉은사 파문의 처음이요, 끝은 아닐 것이다.

분란의 단초가 단위사찰의 사실상 운영권에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봉은사가 작고 초라한 절집이라면 이런 파란이 일었을지 묻고 싶다. 만에 하나라도 명진 스님을 향한 정치권 외압이나 총무원 측 강압이 있었다면 밝혀내야 하겠지만, 정치권까지 끼워넣은 파문 확산은 불교계를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을 깨달아야 한다. ‘버리고 내려놓으라.’는 법정 스님의 사후법문이 진동하고 있지 않은가.
2010-03-23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