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천안함 참사, 국민통합 계기 될 수 있다

[사설] 천안함 참사, 국민통합 계기 될 수 있다

입력 2010-04-12 00:00
업데이트 2010-04-12 01: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천안함 침몰참사가 발생한 지 20일이 가까워 오고 있지만 슬픔과 충격은 가시지 않고 있다. 희생과 아픔이 너무 큰 탓이다. 44명의 실종자들과 차디찬 주검으로 돌아온 고(故) 남기훈·김태석 상사, 실종자 수색작업 중 숨진 고(故) 한주호 준위, 수색작업을 돕기 위해 나섰다가 변을 당한 98금양호 실종·사망 선원들. 그리고 가슴이 터질 듯한 슬픔을 당한 실종자 가족들. 그들의 슬픈 사연에 가슴이 미어진다. 그 비통한 심정을 무엇으로 위로할 수 있겠는가. 아들과 자식을 잃은 실종자 가족들의 고통을 상상조차 할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슬픔을 함께 나누고 위로하고자 하는 국민들의 마음은 한결같다.

천안함 관련 희생자와 유족들, 실종자 가족들의 고통을 함께 나누며 작은 정성이라도 보태고 싶다는 국민들의 마음이 성금으로 모이고 있다고 한다. 한국야쿠르트 임직원들이 천안함 희생자와 유족을 위해 1억원을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전달하는 등 국민들이 각자 작은 정성을 모아 십시일반에 나서는 모습이다. 장례식장에 직접 가보지 못해 미안하다며 성금을 보내오는 시민들도 있다. 그런가 하면 어제 실종자 중 한 명인 김선호 상병의 어머니는 손수 잡채를 준비해 해군 2함대 법당에서 열린 실종자 무사귀환 법회 참석자들에게 공양을 했다. 크나큰 슬픔을 겪으면서도 정성을 담은 음식으로 감사하는 마음을 표현한 어머니의 모습이 너무나 감동적이다. 다른 실종자 가족들 역시 국민의 지지와 격려가 큰 힘이 되고 있다며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고 한다. 비록 슬픈 일을 통해서이지만 이 모든 것이 마음과 마음이 통했기에 가능한 것이다.

남북이 총부리를 겨누고 있는 지역에서 발생한 이번 참사는 원인불명과 북한 관련 의혹 등 불안과 혼란을 부추길 수 있는 여러가지 요소들을 두루 갖췄다. 국가의 위기를 초래할 수도 있는 초유의 사태였음이 틀림없다. 하지만 우리 국민들은 이번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하며 성숙한 사회역량을 보여주고 있다. 받아들여야 할 상황이 힘들고 위협적일수록 그 일을 극복하는 이는 더 크게 성장한다. 고통이 클수록 그 보답은 크다고 한다. 엄청난 국가적 재난인 이번 참사가 국민 모두에게 큰 고통을 안겼지만 결과적으로 국민통합이라는 소중한 결실을 우리에게 안겨줄 것이라 믿는다.
2010-04-12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