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10대 잔혹범죄 어디서 배웠겠나

[사설] 10대 잔혹범죄 어디서 배웠겠나

입력 2010-06-24 00:00
업데이트 2010-06-2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친구를 4일 동안 감금·폭행해 살해한 뒤 시신을 끔찍하게 훼손하고 한강에 버린 10대들이 경찰에 붙잡혔다. 제정신이라고 믿어지지 않을 끔찍하고 엽기적인 사건을 15살 안팎의 어린 남녀 청소년들이 눈 깜짝하지 않고 저질렀다. 이들은 검거된 후에도 태연하게 웃고 떠드는 등 어처구니없는 행동을 보였다고 한다. 갈수록 흉포화·저연령화되어 가는 청소년 범죄에 대한 보다 근본적이고 체계적인 대책이 시급하다.

사건의 가해자들은 시신을 처리하고 운반, 유기하는 과정에서 범행을 은폐하기 위해 인터넷을 뒤지고 케이블TV, 탐정 만화를 흉내냈다. 잔인한 폭력과 엽기적인 살인이 난무하는 영상물과 인터넷 게임이 어떤 엄청난 결과를 가져오는지를 보여준 셈이다. 심성을 피폐화하는 각종 영상물과 출판물, 마약류에 대해서는 보다 강력한 단속과 제재가 필요하다.

사건 관련자 전원은 가난한 결손 가정 등 불우한 환경에서 자랐으며 중·고교를 중퇴했거나 장기결석 상태에서 집을 나와 유흥가를 전전하다 서로 알게 됐다고 한다. 자포자기 상태에서 가출로 탈출구를 찾고, 비슷한 처지의 또래들과 어울리며 생활비와 유흥비 마련을 위해 범죄를 저지르게 되는 것은 흔히 보아온 청소년 범죄의 배경이다. 극빈층에 대한 사회의 무관심이 이번에도 범죄를 키운 셈이다.

경찰 통계에 따르면 범죄 청소년 중 살인과 강도 등 강력범죄 비율은 40%에 이른다. 더 이상 방치해선 안 된다. 가족 해체 등으로 방치된 아이들에 대해서는 세심하고 체계적으로 배려해야 한다. 빈곤층 청소년들이 범죄 유혹에 빠지지 않도록 예방과 교화에 힘써야 한다. 특히 재범 청소년들은 엄하게 다스려 이 사회가 범죄를 용납하지 않는다는 인식을 심어줘야 한다. 청소년들이 병들면 우리 사회의 미래가 병든다. 가정과 학교, 사회가 힘을 합해야 한다.
2010-06-24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