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여권 개편 폭 넓히고 시기 놓치지 말라

[사설] 여권 개편 폭 넓히고 시기 놓치지 말라

입력 2010-07-05 00:00
업데이트 2010-07-05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명박 대통령이 그제 북중미 3국 순방 후 귀국하면서 여권 개편이 가시권으로 접어들었다. 이 대통령과 정운찬 국무총리의 면담 등을 계기로 개편 작업은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한나라당이 7·14 전당대회에서 새 지도부를 선출하는 것을 포함해 이명박 정부를 이끄는 당·정·청 3각축은 본격적인 인력 재배치 수순에 들어간 것이다. 그 배치는 신선함과 감동을 주는 전면 쇄신으로 이뤄져야 한다. 그리하여 앞으로 두 달도 채 남지 않은 이명박 정부의 후반기를 대비해야 할 것이다.

6·2 지방선거 참패로 국정 쇄신은 시대적 요구로 다가왔다. 인적 개편은 그 출발점이기에 세 가지를 주문하고자 한다. 첫째, 화합과 소통을 근간으로 하는 자기 변화가 필요하다. 한나라당은 청와대와 내각을 바꾸라고 하기 전에 먼저 변해야 한다. 무엇보다 전당대회에서 ‘오더 선거’, ‘술 사고 밥 사는 선거’를 지양해야 한다. 그러면 청와대 거수기 논란에서 벗어나고 당·정·청 수평구도를 구축할 수 있다. 둘째, 변화의 폭은 클수록 좋다. 세종시 부결로 개편 폭이 커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는 일각의 희망사항이나 권력게임 차원이 아니라 필연으로 이어져야 한다. 정 총리만 해도 세종시 총리로 각인된 이상 어떤 형태로든 교통정리가 불가피하다. 청와대 개편도 상당부분 윤곽을 잡아가고 있다고 하니 대대적으로 이뤄지는 게 온당하다. 셋째, 인사가 만사가 되려면 실기(失機)하면 안 된다. 청와대 참모진 개편은 7월 초 유력설이 나돌더니 7·14 전당대회 이후설도 나왔다. 개각은 7·28 재·보선 이후설에 이어 이전설도 등장했다. 그러나 지방선거 이후 버티는 모양새로 비쳐졌다가 부정 여론만 더 키웠다는 점을 뼈 아프게 인식해야 할 것이다.

여권 쇄신이 연착륙하려면 변화 의지에 대한 진정성이 중요하다. 이명박 정부의 인재풀을 감안하면 ‘회전문 인사’라는 비판도 나올 수 있다. 인재 재배치가 회전문 인사로 낙인찍히지 않으려면 엄정한 적재적소 원칙이 필수다. 그러자면 ‘예스맨’을 가려내고 대통령에게 쓴소리도 서슴지 않으면서 호흡을 맞출 인사들로 채워야 한다. 나아가 ‘한 지붕 두 가족’인 여권을 하나로 뭉치게 하는 화합 인사는 그 효율성을 배가시킨다.
2010-07-05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