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고졸채용 유행이 아닌 제도로 안착시키자

[사설] 고졸채용 유행이 아닌 제도로 안착시키자

입력 2012-02-24 00:00
업데이트 2012-02-24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거래소가 고졸 인턴사원 10명을 뽑으려 했으나 2명 충원에 그칠 것이라고 한다. 고용이 안정적인 공기업인데다, 학력 구분 없이 인턴을 거쳐 시험에 합격하면 초봉 3000만원을 받는 좋은 조건이었지만 지원자는 25명에 지나지 않았다. 1년 뒤 평가에 따라 채용이 결정되는 ‘인턴’이라는 불안정한 신분도 발길을 돌리는 요인이었다. 반면 40명 모집의 대졸 사원에는 750명이 몰려 경쟁이 치열했다. 대졸자의 하향취업으로 고졸자의 설 자리가 없었던 몇년 전과 비교하면 격세지감이다.

지난해 봄 금융권에 고졸사원 채용 바람이 분 이후 고졸사원 취업전선에는 훈풍이 불고 있다. 은행권에서 시작된 고졸사원 채용은 정부, 공기업 등 공공부문에서 대우조선해양 등 일반 기업으로 확산돼 문호가 대폭 개방됐다. 교육과학기술부에 따르면 2월 현재 특성화 고교의 잠정 취업률은 졸업자 12만 5563명 가운데 41.5%인 5만 3368명이 취업, 지난해(25.9%)보다 무려 15.6% 포인트나 껑충 뛰었다. 특히 취업 희망자 5만 9800여명 가운데 90% 가까이 취업에 성공하면서 특성화고 학생들의 주가는 더욱 치솟고 있다. 게다가 고졸 사원들은 직장에서 겸손하면서도 적극적으로 일해 좋은 평판을 받고 있다니 향후 채용 시장은 더욱 밝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고졸사원 채용 열기가 시장의 자발적 수요가 아닌 정부 등 관 주도로 진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불안한 구석도 없지 않다. 15년 만에 고졸 채용을 부활한 KT그룹은 올해 신규인력의 35%인 1400명을 고졸로 뽑기로 했지만 정부 방침이 변하면 언제 바뀔지 알 수 없다. 또 고졸 채용으로 인해 일각에서는 대졸 등 고학력자들의 일자리를 잠식한다는 볼멘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러다 보면 수익 등 경영여건에 민감한 민간기업들은 항시 인력수급 계획을 변경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고졸 채용은 일시적 이벤트가 아니라 제도적으로 뿌리내려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직무분석을 통해 고졸, 대졸 등 학력에 따른 일자리를 제시해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고졸에 적합한 일자리를 적극적으로 발굴하는 한편 직장 내 상시 재교육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물론 학력 간 임금 격차도 줄여야 한다. 학부모들도 과도한 욕심을 버리고 자녀들의 능력과 적성에 맞게 교육을 시켜야 한다.

2012-02-24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