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개혁 비전 없는 이합집산, 합종연횡을 경계한다

[사설] 개혁 비전 없는 이합집산, 합종연횡을 경계한다

입력 2016-12-23 22:52
업데이트 2016-12-23 23: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원칙도 없는 이합집산은 구태일 뿐…개혁 청사진으로 국민 지지 구해야

탄핵 정국 와중에 새누리당 분당과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대선 출마 선언이 맞물리면서 정치권이 요동치고 있다. 새누리당 비박(박근혜)계의 탈당으로 4당 체제가 가시화되면서 여야를 막론하고 잠재적 대선 주자들이 수면 위에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는 분위기다.

새누리당 비박계의 신당 창당에 발맞춰 반 총장이 대선 출마를 선언한 것은 그동안 시중에 나돌았던 제3지대의 정치 세력화와 일맥상통하고 있다. 대선을 앞두고 정계 개편이 일어나고 새로운 정치 세력을 규합하는 것은 정치적 행위로 볼 수도 있지만 구태 정치임이 틀림없다. 반 총장의 경우 그동안 친박계의 ‘러브콜’에 대해 모호한 입장으로 일관하다가 최근 탄핵 정국에 와서야 박 대통령을 향해 ‘국가적 리더십에 대한 배신 행위’라고 비판했다. 국제 행사에서 직·간접으로 박 대통령의 리더십을 칭송하던 것과는 사뭇 다른 행보였다. 반 총장이 유력한 대선 주자 반열에 오른 이상 더 책임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

대한민국의 적폐를 청산하고 국가 비전을 제시하는 정책적 노선에 기반을 두지 않고 유력 대선 주자를 중심으로 이합집산하는 모양새는 분명히 불길한 징조다. 한국 정치의 고질병이 내년 조기 대선을 앞두고 다시 도지는 형국이라 걱정부터 앞선다. 새누리당 비박계가 친박계와 상대적으로 차별을 받고 권세를 누리지 못했다고 항변해도 그동안 집권당 소속으로 여당의 프리미엄을 누린 것도 사실이다. 전국으로 퍼진 촛불 시위와 성난 민심에 직면하지 않았다면 박 대통령 탄핵 소추안에 찬성표를 던졌을지도 의문스럽다. 가짜·진짜 보수 논쟁에 불을 지피기보다 국민 앞에 자성하는 것이 정치인의 도리다.

야권이 처한 입장도 비슷하다. 야권의 유력 대선 주자들의 행보 역시 촛불 민심을 아전인수격으로 왜곡하고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세력 확장에 골몰하는 모양새다. 최순실 국정 농단 사태에서 드러난 불공정과 기득 세력의 부정부패에 분노한 촛불 민심은 여야를 포함해 정치권 전체의 반성과 변화를 촉구하는 엄중한 항의였다. 야권이 촛불 민심의 반사 이익에 취해 수권 정당으로서 제 역할을 하지 못할 경우 국민은 언제든지 지지를 철회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작금에 진행되는 정치판의 흐름을 보건대 내년 대선은 명분과 원칙도 없는 이합집산과 합종연횡이 활개칠 가능성이 커졌다. 여야 정치권은 최순실 국정 농단 사태에서 드러난 대한민국의 적폐와 새로운 국가 개혁의 비전을 제시하는 일에 집중해야 한다.

선거 때마다 국민을 우롱하는 ‘정치쇼’ 대신 국가적 난제를 해결할 개혁의 청사진을 제시하고 심판을 받는 것이 우선이다. 시대정신을 제대로 읽지 못하고 새로운 리더십을 보이지 못하는 대선 주자들은 도도한 민심의 바다에 휩쓸려 떠내려갈 뿐이다.
2016-12-24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