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행복론 3막/구본영 수석논설위원

[길섶에서] 행복론 3막/구본영 수석논설위원

입력 2010-10-14 00:00
업데이트 2010-10-1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주말 선후배들과의 산행에서 ‘행복 전도사’ 최윤희씨가 최근 스스로 생을 마감한 사실이 화제에 올랐다. 방송활동을 통해 대중들에게 강렬한 희망의 메시지를 전해 온 그인지라 사회적 충격파도 컸던 모양이다.

“지병으로 인한 고통이 오죽 심했으면 그런 극단적 선택을 했겠는가.”라며 안타까워하는 목소리가 주조였다. 더러 조울증은 사람의 의지로 극복할 순 없고, 반드시 치료해야 할 질병임을 강조하는 이도 있었다. 누구도 권위 있는 결론을 제시하진 못했다.

산행 후, 음식점 벽의 낙서를 보고 무릎을 쳤다. “두 명의 죄수가 철창을 통해서 밖을 내다보고 있었다. 한 사람은 진흙땅을 보았고, 다른 한 사람은 별을 보았다.”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고민에 사로잡혀 절망에 빠지지만 않는다면 어떤 악조건에서도 한 줄기 빛은 찾을 수 있다는 메시지가 아닌가. 문득 행복을 정복하기 위해선 “노력과 체념 사이의 중용을 취해야 한다.”던 철학자 러셀의 말이 떠올랐다.

구본영 수석논설위원 kby7@seoul.co.kr
2010-10-14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