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감자탕/노주석 논설위원

[길섶에서] 감자탕/노주석 논설위원

입력 2012-10-22 00:00
업데이트 2012-10-2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 종로구 내자동에 있는 ‘○○족발집’에 종종 간다. 주 종목인 족발 맛이 기막히지만, 마무리로 먹는 감자탕도 일품이다. 얼마 전 회식 자리에서 큰 냄비 속 돼지등뼈를 헤치고 알감자를 찾았는데 감자가 달랑 한 개밖에 들어 있지 않았다.

투덜대다가 일행 중 한 분으로부터 뜻밖의 얘기를 들었다. 감자탕의 ‘감자’는 식물 감자(potato)가 아니란다. 또 다른 일행이 스마트폰으로 즉석에서 감자탕의 유래를 찾아보니 감자란 돼지등뼈에 붙은 척수 즉 등골이라는 설이 유력하다고 소개돼 있었다. 돼지등뼈의 단면이 한자의 ‘달 감(甘)’ 자와 유사하게 생겨 붙어진 이름이라는 설도 있다.

감자탕은 삼국시대 전라도 지방에서 먹기 시작했고, 개항과 함께 인천을 통해 전국으로 퍼졌는데 “감자탕에 감자가 왜 없냐.”라는 타지 사람들의 항의가 빗발치자 채소 감자를 넣어 팔면서 주인공이 뒤바뀌었다는 것이다. 돼지등뼈 감자면 어떻고, 채소 감자면 또 어떤가. 두 감자의 절묘한 궁합이 중요한 게 아닐까.

노주석 논설위원 joo@seoul.co.kr

2012-10-22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