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5월 ‘서울숲’/박건승 논설위원

[길섶에서] 5월 ‘서울숲’/박건승 논설위원

박건승 기자
입력 2017-05-07 23:02
업데이트 2017-05-08 02: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월 서울 뚝섬 ‘서울숲’의 이른 아침은 또 다른 얼굴이다. 백화만발(百花滿發) 만화방창(萬化方暢)은 가고 신록의 푸른 향기가 그 자리를 대신한다. 상큼하다. 싱그럽다. 그지없이 한가롭다. 남아 있는 것들은 언제나 정겹다고 했던가. 나무에 달린 꽃이라고는 ‘영원한 사랑’이 꽃말이란 이팝나무 정도. 손 꼭 붙잡고 그 밑을 한가로이 거니는 노부부의 뒷모습은 세월이 담긴 묵직함 때문이어서인지 더 아름답다.

새들의 지저귐에 숲이 깨어나니 호수도 깨어난다. 호숫가에 앉아 아침 식사거리를 탐색하는 백로. 어른 팔뚝보다 더 큰 잉어의 요동침에 놀라 사냥은커녕 연신 꽁무니를 내빼는 모습이 절로 미소 짓게 한다. 어느 부지런한 청년이 숲속 오래된 노천 피아노에서 뿜어내는 경쾌한 곡조는 꽃사슴과 들고양이의 초여름 아침 나른함을 깨운다.

서울 도심 한복판에서 이런 풍경을 만날 수 있다는 건 행운이다. 그 안에 있는 모든 것들이 반갑다. 간밤 산책 나온 견공들이 잔디밭 여기저기에 남긴 ‘달갑잖은 선물’을 빼고는. 하지만 그들이 무슨 죄이겠는가. 은근슬쩍 목줄 끈 풀어 준 양심 버린 쥔장들이 문제지.
2017-05-08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