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홍환 특파원 베이징은 지금] ‘후진타오 트위터’ 비밀은

[박홍환 특파원 베이징은 지금] ‘후진타오 트위터’ 비밀은

입력 2010-02-23 00:00
업데이트 2010-02-23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이 ‘트위터’에 이름을 올렸다. 정확하게 말하면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微博·마이크로 블로그)에 입성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人民日報)의 인터넷사이트 런민왕(人民網)이 최근 서비스를 시작한 런민웨이보에 후 주석이 실명으로 계정을 개설했다고 22일 중경만보(重慶晩報)가 보도했다.

네티즌들이 확인한 개인프로필에는 후 주석의 공식 직함인 ‘중국 공산당 총서기, 국가주석,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이 쓰여 있었다. 후 주석의 웨이보 개설 소문에 네티즌들은 폭발적인 반응을 보여 현재 후 주석과 일종의 ‘친구맺기’를 한 네티즌이 1만여명에 이르고 있다. 이들은 후 주석이 쓴 글을 실시간으로 받아볼 수 있다.

런민웨이보는 정부기관 고위직 인사나 기업체의 고위관계자, 공공적 성격이 강한 인물의 경우 실명으로 계정을 개설할 때 인증을 받도록 하고 있어 이 계정은 최소한 후 주석 측의 허락 하에 개설된 것으로 보인다.

후 주석은 2008년 6월20일 런민왕 창궈(强國)포럼을 통해 네티즌들과 직접 온라인 대화를 나눈 바 있어 중국 네티즌들은 곧 후 주석의 단문메시지를 받아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 바링허우(80後·1980년대 태어난 세대) 네티즌은 “후 총서기의 일성을 듣고 싶다.”는 글을 남겼다.

중국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트위터나 유튜브 등에 접속할 수 없다. 민감한 내용을 담은 신문기사나 CNN의 특정화면도 차단된 채 서비스된다. 인터넷 검색서비스에 ‘톈안먼(天安門) 사태’를 입력하면 1989년의 톈안먼사태 관련 내용은 게시되지 않는다.

트위터 등 마이크로블로그 서비스는 100자 안팎의 단문을 삽시간에 무수히 많은 사람들이 공유한다는 점에서 폭발적인 전파력을 갖는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도 선거기간 중 트위터를 애용한 트위터족이었다. 중국이 원조 트위터를 막아놓고 ‘산자이(山寨·짝퉁) 트위터’를 서비스하는 이유와 후 주석이 웨이보에 입성한 까닭이 더욱 더 궁금해진다.

stinger@seoul.co.kr
2010-02-23 2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