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파괴원인 1위 화전

아마존 파괴원인 1위 화전

입력 2010-06-08 00:00
업데이트 2010-06-08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英연구진 “화재 59% 급증… CO2 발생 산소보다 많아”

‘세계의 허파’로 불리는 아마존 열대우림이 급증하는 화재로 인해 ‘세계의 굴뚝’으로 전락할 위기에 처했다. 아마존 원주민의 농경 방식인 화전이 주범으로 확인됐다. 그동안 열대우림 파괴의 가장 큰 원인으로 벌채가 지목돼 왔었다.

영국 엑세터 대학 연구진은 최근 과학저널 사이언스 최신판에 게재한 논문에서 “1998년에서 2005년 사이에 아마존 일대에서 화재가 59%가량 급증했으며 이는 ‘숲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REDD)’이라는 유엔 정책의 근간을 흔들고 있다.”고 밝혔다.

2005년 유엔이 도입한 REDD는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를 흡수하는 숲을 보호하기 위해 브라질과 인도네시아의 벌목을 금지하고 선진국이 이에 대한 보상으로 금전적 지원을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해마다 인류가 내뿜는 30억t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며 ‘지구의 허파’로 불려온 인도네시아와 브라질 열대우림은 삼림벌채 등으로 인해 최근 급격히 규모가 줄어들고 있다.

연구팀은 브라질 국립항공연구소에서 제공받은 위성사진을 통해 지금까지 아마존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돼 온 삼림벌채보다 화재가 더 많은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루이즈 아라가오 엑세터대 교수는 “삼림이 줄어들면 화재가 줄어들어야 하는데, 아마존에서는 반대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면서 “이는 팔 수 있는 나무를 자른 후 그 자리에 불을 질러 화전을 만드는 아마존 원주민들의 경작 습관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들이 화전을 만들면서 의도와 다르게 화재가 퍼져 삼림이 파괴된다는 것이다. 또 이 때문에 열대우림이 다른 지역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는커녕 화재로 발생한 이산화탄소도 다 흡수하지 못하면서 숲의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산소 발생량을 넘어서는 악순환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숲 보호기구인 글로벌 캐노피 프로그램의 앤드루 미첼은 B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원주민 농부들이 불을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고 해서 삼림개간이라는 근원적인 문제가 사라지지는 않는다.”면서 “결국 원주민이 다른 직업을 갖도록 하거나, 원주민을 숲 밖으로 이주시키는 것이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강조했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0-06-08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