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버대·북핵으로 맺은 인연

덴버대·북핵으로 맺은 인연

입력 2010-07-05 00:00
업데이트 2010-07-05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힐 덴버대 학장선임 계기로 3인 화제

북한 핵문제를 다루면서 국제외교가의 스타로 부상했던 크리스토퍼 힐 이라크 주재 미국대사가 올가을 덴버대학교로 자리를 옮기게 됨에 따라 새삼 매들린 올브라이트 전 국무장관과 콘돌리자 라이스 전 국무장관과의 남다른 ‘3각 인연’이 화제다.

이미지 확대
오는 9월1일부터 힐 대사가 학장을 맡게 될 덴버대 조지프 코벨 국제관계대학은 올브라이트 전 국무장관의 부친인 조지프 코벨이 1964년 설립했다. 그런가 하면 이 대학의 가장 유명한 졸업생 가운데 한 명이 바로 미국 역사상 최초의 흑인 여성 국무장관인 라이스 전 국무장관이다. 이들 세 사람은 또 북한 핵 문제와도 떼려야 뗄 수 없다. 올브라이트 전 장관은 빌 클린턴 행정부 말기였던 2000년 10월 국무장관으로는 처음 북한을 방문,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회담을 갖고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중단 및 유예문제 등을 협의했다.

스탠퍼드대 학장으로 복귀한 라이스 전 장관은 당시 힐 전 동아태차관보와 함께 북한의 테러지원국 해제, 영변 핵시설 냉각탑 폭파 등 북한의 핵불능화 합의를 이끌어냈으나 핵검증이라는 암초에 걸려 결실을 맺지 못했다. 한마디로 ‘덴버대’와 ‘북핵’으로 엮어진 관계인 셈이다. 힐 대사는 교수로 전업하는 것과 관련, “유능한 교수진과 함께 학부생과 대학원생들을 상대로 교육할 기회를 갖게 된 것을 필생의 기회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워싱턴 김균미특파원 kmkim@seoul.co.kr

2010-07-05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