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M1 소총 86만정 美수출 논란”

“한국, M1 소총 86만정 美수출 논란”

입력 2010-09-03 00:00
업데이트 2010-09-03 04: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 정부가 한국전쟁 당시 미군이 사용했던 M1 소총 86만정을 미국에 판매하려는 계획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고 폭스뉴스가 2일 보도했다.

 케이블 뉴스채널인 폭스뉴스에 따르면 한국 정부는 국방비 확보 차원에서 6.25전쟁 때 사용됐던 M1 카빈(Carbine) 소총 77만여정과 M1 개런드(Garand) 소총 8만7천여정을 미국내 총기수집상들에게 매각하기를 원했으나,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반대에 부딪힌 상태다.

 애초 오바마 행정부는 작년까지만 해도 이 같은 대규모 총기거래를 승인했으나,지난 3월 입장을 바꿔 이에 제동을 걸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조후 50년이 경과한 M1 소총의 경우 ‘골동품’ 차원에서 수입하는 것은 법적으로 무방하지만,이번 처럼 미국이 한국 정부에 넘겨줬던 총기를 되사들이는 것은 거래성립 전에 국무부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특수한 범주’에 해당된다고 이 방송은 전했다.

 미 국무부 대변인실은 M1 소총의 수입을 막고 있는 이유에 대해 수입된 총기가 수집가들이 아닌 폭력집단 등 ‘잘못된 사람들’의 수중에 들어갈 수 있다는 우려때문이라고 밝혔다.

 총기사고 예방단체들은 “대용량 탄창을 장착하는 총들은 공공의 안전에 위협을 줄 수 있다”며 국무부의 결정을 반기고 있는 반면,총기소유 찬성론자들은 “M1 소총을 보유하는 것은 미국내에서 합법적인 것이며,특히 이 총은 기관총이 아니라 한발 한발씩 방아쇠를 당겨야 하는 반자동 소총”이라고 맞서고 있다.

 M1 소총 등 ‘골동품’이 되다시피한 총기의 미국내 대량 반입문제에 대한 미국 역대 행정부의 처리방식은 사안별로 달랐던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당 정권인 빌 클린턴 행정부는 필리핀,터키,파키스탄으로부터 M1 소총과 기타 ‘앤티크’ 군사무기가 수입되는 것을 막았던 반면,공화당의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는 1987년 한국으로부터 20만정의 M1 소총을 들여와 판매하는 것을 허용한 적이 있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