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견제 나선 후진타오 ‘西進中’

美 견제 나선 후진타오 ‘西進中’

입력 2010-11-06 00:00
업데이트 2010-11-06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요 20개국(G20) 서울 정상회의 참석 전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아시아 각국을 순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프랑스를 국빈 방문 중인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이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에게 ‘통큰 지갑’을 내보였다. 이는 차기 G20 의장인 사르코지 대통령에게 G20에서의 협력을 강화하자는 신호를 보낸 것으로 해석된다.

이미지 확대
프랑스를 국빈방문한 후진타오(왼쪽) 중국 국가주석이 4일(현지시간) 오후 엘리제궁에서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과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 파리 신화 연합뉴스
프랑스를 국빈방문한 후진타오(왼쪽) 중국 국가주석이 4일(현지시간) 오후 엘리제궁에서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과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
파리 신화 연합뉴스
후 주석이 프랑스 방문 첫날인 4일(현지시간) 프랑스 측과 200억 달러(약 22조원) 규모의 경제 협력 계약 10여건을 체결했다고 홍콩 봉황위성TV 등이 5일 보도했다. 102대의 에어버스 항공기를 140억 달러에 구매하기로 했고, 10여년간 35억 달러 규모의 우라늄 핵원료를 공급받는 계약도 체결했다. 프랑스 에너지기업인 토탈은 중국 석유화학공장에 20억~30억 유로를 투자하기로 했다. 후 주석과 사르코지 대통령은 또 5년 후 양국 교역액을 현재의 두배인 800억 달러로 늘리기로 합의했다.

후 주석의 적극적인 대시에 사르코지 대통령도 성의를 보였다. 사르코지 대통령은 파리 오를리공항으로 직접 후 주석을 영접하러 나갔고, 국제 이슈로 떠오른 류샤오보(劉曉波) 문제도 거론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2008년 말 사르코지 대통령이 티베트의 정신적 지도자인 달라이 라마 면담 이후 전개된 양국 간 긴장관계가 언제 있었냐는 듯 양국은 후 주석의 프랑스 방문을 계기로 전례 없는 밀월을 과시하고 있다.

베이징 외교가에서는 이런 우의 과시를 다분히 미국을 의식한 제스처로 보고 있다. 서로를 필요로 하는 현실적 상황과도 무관치 않다. 중국은 이번 G20 서울 정상회의에서 위안화 환율 문제 등과 관련, ‘우군’이 필요했고 프랑스 역시 차기 G20을 주재하는 입장에서 중국의 협력이 절실하기 때문이다.

지속적인 ‘유럽 끌어안기’로 보는 시각도 있다. 홍콩경제일보는 원자바오 총리가 지난달 초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 참석 중 전격적으로 독일을 방문해 앙겔라 메르켈 총리와 회동한 점, 영국의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가 G20 서울 정상회의 참석 전 대규모 대표단을 이끌고 중국을 방문할 예정이라는 점 등을 들어 “중국이 유럽과 손을 잡고, 미국의 중국에 대한 경제 및 환율 문제 압력에 대항하려는 의도”라고 분석했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2010-11-06 1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