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첩보국 자존심 회복” 칼 뽑은 크렘린궁

“첩보국 자존심 회복” 칼 뽑은 크렘린궁

입력 2010-11-13 00:00
업데이트 2010-11-13 00: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셰르바코프 대령이 스파이 정보 넘겨”… 러 암살요원 특파

첩보원의 배신으로 자존심에 금이 간 러시아 대외정보국(SVR)이 칼을 뽑았다. ‘미녀 스파이’로 이름을 날리고 있는 안나 차프만 등 미국에서 활약하던 자국의 간첩들을 밀고한 이중간첩을 제거하기 위해 암살요원을 미 현지로 특파한 것이다.

11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 등에 따르면 SVR는 차프만 등이 참여한 미국 내 간첩활동이 들통난 것은 첩보원 셰르바코프 대령의 배신 때문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러시아 일간 코메르산트는 익명의 한 러시아 관리의 말을 인용, “당시 배신자는 셰르바코프 대령으로 밝혀졌으며, 이중간첩인 그가 지금 어디에 있는지 파악해 배신자를 처단할 킬러를 파견한 상태”라고 보도했다.

셰르바코프 대령은 SVR의 미국과 과장 신분으로 오랫동안 미국에서 암약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자국의 스파이망이 발각되기 직전에 러시아 마약통제국의 관리였던 아들을 먼저 미국으로 대피시키는 등 폭로 전 치밀하게 사전준비를 했다는 사실이 드러나 러시아 당국은 그의 배신에 더욱 분개하고 있다. 지난해 SVR의 승진 제안을 거절했던 이유도 크렘린궁을 새삼 더 황당하게 만들었다. 자격검증 과정에서 거치는 거짓말 탐지기 조사에서 자신이 이중간첩이란 사실이 들통날까봐 아예 승진 제안을 고사했던 것.

미국과 러시아는 지난 7월 차프만 등 미국에서 활동하다 적발된 러시아 스파이 10명과 서방국가들을 위해 러시아에서 암약해온 스파이 4명을 맞교환했다. 전문 첩보원을 훈련하는 데 십수년이 걸리는 만큼 셰르바코프의 배신으로 러시아 정보 당국은 인력 손실은 물론 ‘대표 첩보국’으로서의 명성에도 치명적 상처를 입었다. 당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총리는 귀환한 스파이들을 환영하면서 “이번 사건은 국가에 대한 반역행위이며, 반역자의 말로는 언제나 비극적일 것”이라며 경고한 바 있다.

황수정기자 sjh@seoul.co.kr

2010-11-13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