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스펀 “美 재정적자에 채권시장 위기”

그린스펀 “美 재정적자에 채권시장 위기”

입력 2010-11-15 00:00
업데이트 2010-11-15 10: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달러화 약세정책’ 이어 ‘재정적자 대처 미흡’ 비판

  미국은 대규모 재정적자를 통제하는 조치에 나서야 하며 그렇지 못하면 채권시장이 위기국면을 맞게 될 것이라고 앨런 그린스펀 전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14일 경고했다.

 그린스펀 전 의장은 이날 NBC방송의 ‘언론과의 만남’(Meet the Press) 프로그램에 출연해 “재정적자 문제가 우리를 짓누르기 전에 이 문제들을 해결해야 한다”며 이같이 경고했다.

 이는 어스킨 보울스 전 백악관 비서실장과 앨런 심슨 전 상원 의원이 이끄는 재정적자대책위원회가 내달 1일까지 대책보고서 최종안을 제출할 예정인 가운데 나온 전 Fed 수장의 발언이어서 주목된다.

 앞서 대책위는 지난주 공개한 보고서 초안을 통해 오는 2020년까지 재정적자 규모를 4조달러 축소하는 내용을 담은 증세.지출계획을 공개했으나 낸시 펠로시 하원 의장을 비롯한 일부 정치인들로부터 노골적인 비판을 받거나 미온적인 반응만 얻었다.

 그린스펀은 그러나 보울스.심슨 대책위 공동위원장의 권고안에 ‘상응하는 대책’이 결국 의회에서 통과될 것이라며 “다른 대안이 없는 만큼 채권시장 위기가 터지기 전에 가결될 것인지,아니면 그후에 될 것인지가 유일한 의문점”이라고 지적했다.

 그린스펀 전 의장은 특히 “큰 문제는 재정적자가 더 장기화될 것이라는 관측으로 인해 채권시장이 장기금리와 모기지 금리가 매우 가파르게 오르는 상황으로 치달을지 여부”라며 “이렇게 되면 ’더블딥(이중침체)‘이 발생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앞서 그린스펀은 지난주 파이낸셜타임스(FT) 기고문에서 미국 정부가 달러화 약세정책을 추구하고 있다고 비판해 티머시 가이트너 재무장관이 서둘러 진화에 나서는 등 큰 파문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

워싱턴 로이터=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