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상하이서 ‘韓人잔치’-‘反日시위’ 대조

中 상하이서 ‘韓人잔치’-‘反日시위’ 대조

입력 2012-09-15 00:00
업데이트 2012-09-15 23: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5일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한국과 일본을 둘러싼 대조적인 광경이 벌어졌다.

중국과 일본의 댜오위다오(釣魚島·일본명 센카쿠<尖閣> 열도) 분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한국과 일본을 대하는 중국인의 태도가 확연히 다른 데서 비롯된 것이었다.

상하이한국상회(회장 박현순)는 이날 오전 1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상하이시 한인 밀집지역 부근인 홍징(虹井)로 러홍팡(樂虹坊)광장에서 한중수교 20주년 기념 ‘한민족 큰잔치’를 벌였다.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인들과 가족을 비롯한 상하이 한국 교민, 상하이시 조선족기업가협회 소속 기업인 등 300여 명이 한자리에 모여 노래와 춤, 초청공연 등을 즐겼다.

행사장 주변에 사는 일부 중국 주민들도 예술인 초청공연과 바자회, 한국 음식 장터, 특산물 판매 등 행사에 참여하기도 했다.

한국인과 조선족 동포뿐만 아니라 중국인까지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한마당이 된 셈이다.

이에 반해 이날 오전 9시에서 10시 사이 상하이시 완산(萬山)로 일본상하이영사관 앞에서는 중국인 10명 안팎이 반일(反日) 시위를 벌여 긴장감이 돌기도 했다.

중국 공안당국은 일본영사관 부근 도로를 대형 컨테이너로 가로막아 진입을 통제했다. 일본의 댜오위다오 국유화에 항의하는 시위에 대비한 조치였다.

이와 함께 상하이의 거리에서는 반일구호를 써 붙이고 다니는 차량도 눈에 띄는 등 고조된 반일 감정이 드러났다.

중일 간 영토분쟁 국면에서 중국인들이 한국과 일본에 대해 여실히 다른 감정 차를 드러낸 것이다.

상하이한국상회 관계자는 “중국과의 갈등 당사국이 일본이 아닌 한국이었다면 아무리 오래전부터 준비됐어도 제대로 진행하기 어려웠을 것”이라며 “본국과 거주국의 외교관계가 재외국민에게는 구체적인 사안까지 커다란 영향을 미치기 마련이다”고 말했다.

한편, 상하이시 정부는 이날 오전 11시30분부터 12시까지 30분 사이에 3차례의 사이렌을 울렸다. 상하이시는 전날부터 언론 매체 등을 통해 방공방재(防空防災) 훈련의 일환으로 경보음을 울릴 것이라고 예고하면서 외국인들이 놀라지 않도록 당부했다.

하지만, 교민들은 최근 수년간 전례가 없었던 일이라며 중일 사이의 긴장 고조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측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