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집권 2기] “G2 관계 큰 변화 없을 것 北급변사태 논의시작해야”

[오바마 집권 2기] “G2 관계 큰 변화 없을 것 北급변사태 논의시작해야”

입력 2012-11-09 00:00
업데이트 2012-11-0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앨런 롬버그 美 스팀슨센터 국장

“큰 변화가 있지는 않을 것이다.”

앨런 롬버그 미국 스팀슨센터 동아시아 국장은 7일(현지시간) 서울신문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향후 4년간 버락 오바마 2기 행정부와 중국의 새 지도자로 내정된 시진핑(習近平) 국가부주석이 이끄는 미·중관계가 종전과 비슷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앨런 롬버그 美 스팀슨센터 국장
앨런 롬버그 美 스팀슨센터 국장
→향후 4년간 미·중관계는 지금보다 좋아질까, 나빠질까.

-지금과 아주 비슷할 것이다. 양국 사이에 어려운 이슈가 많고, 시각차가 있지만 양국 지도부가 건설적 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은 매우 명확하다. 올 초 시 부주석이 미국을 방문했을 때 양국 간 문제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양측이 앞으로도 일이 되는 쪽으로 계속 노력할 것으로 본다.

→동북아는 향후 4년간 지금보다 평화로워질까.

-전망하기 어렵다. 무엇보다 북한 정권이 어떤 선택을 할지 모르기 때문이다. 중·일 간 분쟁과 관련해서도 양국 정부가 어떤 전략을 갖고 있는지 불분명한 상황이다. 한·일 간 분쟁의 경우 동북아 평화에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닐 것으로 본다. 양국 정부가 비교적 덜 적대적이기 때문이다.

→2010년 북한이 두 차례 대남도발을 했을 때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 체제의 중국은 대북 제재에 협조적이지 않았다. 만일 북한이 장래에 대남도발을 한다면 시진핑 체제의 중국은 어떻게 나올까.

-중국은 지도자 개인이 아니라 나라 전체의 이익에 따라 움직인다. 따라서 중국에 리더십이 새로 등장했다고 해서 갑작스러운 변화는 없을 것이다. 북한의 도발은 지역 평화와 안정이라는 중국의 이익에 반하는 것인 만큼 중국의 새 지도부도 북한에 도발을 삼가라고 압박할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급진적 접근법을 구사할 것으로는 생각하지 않는다. 중국은 기본적으로 북한이 혼란에 빠지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이다.

→만약 향후 4년 내 북한에 급변사태가 오면 오바마와 시진핑은 평화적으로 협조할까.

-미·중 정부는 이 문제에 대해 전혀 진지한 논의를 하지 않고 있다. 지금이라도 당장 이런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 미·중 양국은 북한 급변사태 시 상대방이 한반도에서 전략적 이익을 취하지 않을까 서로 걱정하는 만큼 이 문제를 미리 논의해야 한다.

→센카쿠열도 분쟁이 다시 일어날 경우 오바마 행정부는 어떻게 나올까.

-지금과 같을 것이다. 미국은 중·일 양측이 긴장을 낮추고 외교적 방법으로 해결하기를 바란다. 미·일관계는 상호안보조약에 따라 보장되지만, 미·중관계 역시 아주 중요하다.

→중국 전문가 중에서 미국이 아시아에서의 영향력 확대를 위해 아시아 영토분쟁을 부추긴다는 주장을 하는데.

-난센스다. 그런 음모론은 중국에서는 인기가 있겠지만 미국은 실제로 동아시아 군사화에는 관심이 없다.

→독도 문제 등 한·일 간 갈등이 다시 표출할 경우 오바마 행정부는 어떻게 나올까.

-지금과 같을 것이다. 동북아에서 미국의 주요 이익은 한·미·일 관계의 증진이기 때문에 한·일관계가 좋아지기를 바랄 것이다. 문제는 한·일의 지도자가 곧 선거를 통해 교체된다는 것이다.

워싱턴 김상연특파원 carlos@seoul.co.kr

■롬버그는 누구

20년간 美 외교 담당… 동아시아 전문가

프린스턴대 우드로윌슨 공공외교스쿨을 졸업하고, 하버드대에서 석사 학위를 받은 뒤 20년간 미국 외교관으로서 국무부 부대변인과 정책기획국 부국장 등을 역임했다. 특히 국무부 일본국장과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중국 분석관으로 활동하고 타이완과 홍콩 주재 미국 공관에서도 근무한 미국 내 대표적인 동아시아 전문가다. 미국외교협회 아시아 선임연구원과 해군장관 특별보좌관 등으로도 활동했다.

2012-11-09 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