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아베 내각에 ‘망언 제조기’ 즐비

일본 아베 내각에 ‘망언 제조기’ 즐비

입력 2012-12-26 00:00
업데이트 2012-12-26 11: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6일 출범하는 일본의 아베 신조(安倍晋三) 내각에는 그동안 일본의 주변국 침략이나 일본군 위안부 문제, 독도 문제와 관련해 망언을 일삼은 인사들이 대거 포진하고 있다.

대표적인 인사는 문부과학상에 내정된 시모무라 하쿠분(下村博文) 의원이다. 그는 아베 1차 내각의 관방부장관으로 있던 2007년 3월25일 ‘라디오니혼’의 한 프로그램에서 “종군간호부나 종군기자는 있었지만, 종군위안부는 없었다”며 “위안부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부모가 딸을 파는 일이 있었을 뿐 일본군이 관여한 것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이는 일본군 위안부 강제 연행을 일부 인정한 1993년의 고노 담화 뿐만 아니라 일본군이 위안부 제도 운영에 관여했다는 1992년의 가토 담화까지 부정하는 발언으로 당시 일본에서 파문을 불러 일으켰다.

그는 논란이 일자 발언 다음날 기자회견에서 “’공적인 자료에 군이나 관헌의 조직적인 강제연행을 직접 가리키는 기술은 발견하지 못했다’는 1997년의 정부 답변에 따른 것이고, 개인적인 견해”라고 설명했다. 가토 담화와 고노 담화의 쟁점을 슬그머니 뒤섞는 방법으로 논란을 피해간 것이다.

국가공안위원장 겸 납치문제 담당상에 내정된 후루야 게이지(古屋圭司) 의원도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해 시모무라 의원과 비슷한 주장을 하는 인사다.

지난해 5월6일에는 야마타니 에리코(山谷えり子) 의원과 함께 방미, 미국 뉴저지주에 설치된 위안부 기림비 철거를 요구했다.

지난해 8월 한국의 독도 지배 강화 실태를 살펴보겠다며 울릉도 방문길에 나섰다가 김포공항에서 입국이 거부된 신도 요시타카(新藤義孝)·이나다 도모미(稻田朋美) 의원도 입각이 유력시된다.

방위상에 내정된 오노데라 이쓰노리(小野寺五典) 의원과 환경상 임명이 유력한 야마모토 이치타(山本一太) 의원은 간 나오토(菅直人) 총리의 한국강제병합 100년 사죄 담화에 극력 반대했던 의원들이다.

아소 다로(麻生太郞) 부총리도 2003년 5월 “창씨개명은 조선인이 원한 일”이라고 발언하는 등 종종 역사 인식에 문제가 있는 발언을 해왔다.

각료는 아니지만 자민당 정무조사회장에 임명된 다카이치 사나에(高市早苗) 의원도 TV 프로그램에서 일본의 중국 침략을 “자위를 위한 전쟁이었다”고 발언한 적이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