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핏 “공공 연금 위기 갈수록 심화”

버핏 “공공 연금 위기 갈수록 심화”

입력 2014-03-02 00:00
업데이트 2014-03-02 12: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례 주주 편지서 “앞으로 10년 나쁜 소식 많을 것””당국이 지킬 수 없는 약속하는 것이 주요 원인”

월가 투자 귀재 워런 버핏은 공공 연금 위기가 갈수록 심화하면서 “많은 나쁜 소식”이 나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버핏은 지난 1일(현지시간) 매년 주주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이처럼 우려했다.

버핏은 편지에서 “공공 재정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면서 “당국이 (나중에) 지킬 수 없는 연금을 약속하는 것이 주요 원인”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1975년 캐서린 그레이엄 당시 워싱턴포스트 그룹 회장에게 보낸 메모에서도 이 점을 우려했음을 상기시켰다.

핏은 당시 메모에서 “연금 계약에 서명하기 전 ‘나중에 실질적으로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를 꼼꼼히 따지는 것’이 우선으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고 마켓워치는 전했다.

당시 메모는 “연금 관리 비용을 너무 등한시하는 것인지 모른다”면서 “정부의 연금 관리 비용이 간과되는 것이 후손에게 분명히 큰 부담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버핏은 지난 1일 자 주주 편지에서도 “앞으로 10년 여러분은 (공공 연금에 관해) 많은 나쁜 소식에 접하게 될 것”이라면서 “경제 위기로 말미암은 공공 예산 압박과 (당국의 연금 관리에 대한) 형편없는 (정책) 결정 등이 바로 그것”이라고 지적했다.

마켓워치는 이와 관련, 디트로이트시 파산 보호 신청 및 미국령 푸에르토리코의 재정 위기를 상기시켰다.

마켓워치는 또 전문분석기관 리퍼 집계를 인용해 지난해 미국 지방채권 펀드에서 기록적인 626억 달러가 순유출됐음을 전했다.

이는 1994년의 기록인 150억 달러보다 4배가 넘는 규모라고 마켓워치는 강조했다.

신용평가기관 무디스도 지난 1월 미국 공공 재정과 관련해 지난해 취해진 5개 등급 강등 가운데 4개꼴이 지방 채권에 해당했음을 상기시켰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