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식사가 비싸진다…식품 인플레 공포 확산”

“아침식사가 비싸진다…식품 인플레 공포 확산”

입력 2014-03-18 00:00
업데이트 2014-03-18 09: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침식사 재료로 많이 쓰이는 주요 식료품 가격이 급등하면서 ‘식품 인플레이션’ 공포가 확산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 인터넷판이 18일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아침식사 재료로 많이 쓰이는 커피와 오렌지 주스, 밀, 설탕, 우유, 버터, 코코아, 돼지고기 등 8개 주요 식료품 가격은 올해 평균 25% 가까이 오를 전망이다. 주요 원인은 이들 식료품 산지를 강타한 가뭄과 가축 전염병, 중국과 러시아 등 신흥국의 수요 증가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의 압돌레자 아바시안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아침식사로 애용되는 주요 식료품 가격이 일제히 오르고 있다”며 “이는 예상하지 못했던 것이지만 얼마나 급작스럽게 상황이 바뀔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커피 원두의 경우 주요 산지인 브라질을 강타한 때아닌 가뭄의 영향으로 가격이 70% 이상 급등했고 돼지고기 역시 미국의 양돈 농가를 휩쓴 바이러스성 전염병 탓에 시카고 상품거래소에서 가격이 40% 넘게 올랐다.

밀 가격은 정정 불안의 영향을 받고 있다. 이례적으로 추웠던 미국의 겨울 탓에 상승세를 보이던 국제 밀 가격은 주요 산지 중 하나인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정치적 위기상황이 계속되면서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우유와 버터 등 유제품의 경우 중국과 러시아 등 신흥국의 급속한 경제 성장으로 전반적인 수요가 급증하면서 가격이 크게 올랐다. 헤지펀드 등 투기세력의 가세도 식료품 가격 상승세를 부채질하고 있다.

석유와 구리 등 주요 산업 원자재 가격이 1월 이후 부진한 흐름세를 이어가자 헤지펀드를 비롯한 투자자들이 식료품 투자로 관심을 돌리면서 가격 상승세가 가팔라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올여름 엘니뇨 발생 가능성에 주목하면서 향후 수개월간 아침식사용 식료품 가격이 더 오를 위험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엘니뇨는 태평양의 수온이 상승하면서 인접국에 홍수와 가뭄 등을 일으키는 이상기온 현상을 일컫는 것으로, 보통 식료품 가격 상승을 동반한다.

엘니뇨의 영향으로 인도와 동남아, 호주 등지에 가뭄이 찾아오면 밀 가격이 뛰어 아침에 먹는 토스트 가격이 급등하고 주요 코코아 산지인 서아프리카 지역의 건조한 날씨는 핫초코 가격 상승을 유발하게 된다고 신문은 전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