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P·가디언, NSA 도청 폭로로 퓰리처상 수상

WP·가디언, NSA 도청 폭로로 퓰리처상 수상

입력 2014-04-15 00:00
업데이트 2014-04-15 10: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선정위 “통찰력 있는 보도로 국가안보의 더 넓은 틀 이해 도와”

미국의 워싱턴포스트(WP)와 영국의 가디언이 미국 국가안보국(NSA)의 무차별적인 도·감청 실태를 폭로한 기사로 미국 언론 분야에서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퓰리처상을 받게 됐다.

퓰리처상 선정위원회는 14일(현지시간) 뉴욕 컬럼비아대학 언론대학원에서 올해 퓰리처상 선정 결과를 발표했다.

WP와 가디언은 공공서비스 부문에서 퓰리처상을 수상대상으로 선정됐다.

이들 신문은 전 NSA 직원인 에드워드 스노든이 넘겨준 수천 건의 비밀 서류를 바탕으로 미국 정부의 무차별적인 도·감청 실태를 공개했다.

WP는 NSA의 전자감시 프로그램 ‘프리즘’을 보도했고 가디언은 NSA의 무차별적인 전화통화 수집을 폭로했다.

선정위원회는 “WP는 권위있고 통찰력 있는 보도로 대중이 국가안보의 더 넓은 틀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왔고, 가디언은 안보와 프라이버시 이슈와 관련해 정부와 대중이 어떤 관계를 맺어야 하는지에 대한 논란을 촉발하는 공격적인 보도를 했다”고 평했다.

이들 신문의 보도로 NSA가 무차별적인 도·감청 프로그램을 통해 미국인 수백만 명의 전화통화와 이메일 정보를 수집한 것으로 드러났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사생활 침해 논란이 지속되자 NSA의 감시를 제한했다.

하지만 사생활 침해와 기밀 폭로에 따른 국가 안보 위협 등의 논란이 발생했다. 미국의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에 따르면 퓰리처상 선정위원회 내부에서도 비슷한 논란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의 저명한 언론인 조지프 퓰리처의 유산 50만 달러를 기금으로 1917년 창설된 퓰리처상은 미국 언론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으로 평가되며 언론 분야에서 뉴스, 보도사진 등 14개 부문의 수상자를 선정한다.

후보는 미국 언론사에서 활동하는 기자로 한정하고 있지만 가디언의 보도는 뉴욕지사를 통해 이뤄져 수상 후보에 이름을 올릴 수 있었다.

수상 기사를 쓴 기자는 WP의 바튼 겔먼과 가디언의 글렌 그린월드를 포함한 3명이다.

속보 부문 퓰리처상은 지난해 4월 발생한 보스턴마라톤대회 테러 사건과 범인 검거 과정을 철저하고 공감할 수 있게 보도한 보스턴글로브가 받게 됐다.

속보와 기획 부문으로 나눠져 있는 사진 부문은 모두 뉴욕타임스(NYT) 기자들이 수상했다.

타일러 힉스 기자는 케냐의 웨스트게이트 쇼핑몰 테러 사진으로 속보 부문에서, 조쉬 헤이너 기자는 보스턴마라톤대회 테러로 다리를 잃은 희생자 사진으로 기획 부문에서 각각 상을 받는다.

소설 부문은 도나 타트의 소설 ‘황금방울새’(The Glodfinch)가, 희곡 부문은 애니 베이커의 ‘더 플릭’(The Flick)이 받는다.

시 부문은 비제이 세샤드리의 시집 ‘3섹션스’(3 Sections)에, 음악 부문은 작곡가 존 루서 애덤스의 오케스트라 작품 ‘비컴 오션’(Become Ocean)에 돌아갔다.

공공 서비스 부문 수상자는 금메달을, 다른 수상자들은 10만 달러의 상금을 각각 받는다.

NSA의 대규모 비밀 감청활동을 폭로한 스노든은 자신이 수집한 기밀문건을 보도한 가디언과 워싱턴포스트(WP)의 노력 덕분에 미래가 밝아졌다고 반겼다.

스노든은 축하메시지에서 “이번 수상은 정부 활동에 대한 대중의 감시가 필요하다고 믿는 사람들에 대한 보상”이라며 “엄청난 위협에 맞서 관련 내용을 보도한 취재진과 관계자의 노력에 빚을 졌다”고 밝혔다.

스노든은 또 폭로 보도 과정에서 취재진은 자료 폐기를 강요받고, 테러방지법까지 적용받는 등 온갖 압력에 시달려야 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