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병원 “시아버지 정자·며느리 난자 체외수정 아기 118명”…가족관계 혼란 논란

日병원 “시아버지 정자·며느리 난자 체외수정 아기 118명”…가족관계 혼란 논란

입력 2014-07-28 00:00
업데이트 2014-07-28 15: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본의 한 병원에서 지난 17년 동안 시아버지의 정자와 며느리의 난자로 시술한 체외수정의 결과 태어난 아기가 118명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현지 언론이 28일 보도했다.

일본 나가노(長野)현에 있는 불임치료기관인 ‘스와(諏訪) 마터니티 클리닉’의 네쓰 야히로(根津八紘) 원장은 이달 말 도쿄에서 열리는 일본수정착상학회에서 이런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1996년부터 지난해까지 이 클리닉에서 남편에게 정자가 없는 부부 110쌍이 남편 아버지(50∼70대)의 정자와 아내의 난자를 체외수정으로 결합하는 시술에 응했다.

이 중 실제로 출산한 여성은 79명이며 2회 이상 같은 방식(시아버지의 정자와 며느리의 난자 결합)으로 출산한 산모도 17명에 달했다. 이렇게 태어난 아기는 모두 118명으로 집계됐다.

네쓰 원장은 남편의 형제(28쌍),기타 인물(8쌍) 등 남편의 아버지 외 다른 근친의 정자로 체외 수정을 한 사례도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런 방식의 임신·출산은 기존의 가족 관계에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논쟁을 부를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산부인과학회는 부부가 익명의 제삼자로부터 정자를 제공받아 인공수정하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 이 학회에서는 과거에 근친으로부터 정자나 난자를 받는 것에 관해 “가족관계나 인간관계가 복잡해져 아이의 복지라는 관점에서 미래에 예기치 못한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 바 있다.

네쓰 원장은 “가족으로부터 제공을 원하는 부부가 적지 않다. 상담을 반복해 신중하게 하고 있다. 혈연관계가 있는 쪽이 제공자 가족까지 포함해 우호적인 가족 관계를 만들기 쉽고 출신이 명확해지는 면도 있다”고 요미우리(讀賣)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