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69%, 국정 전반에 불만족”<퓨리서치>

“한국인 69%, 국정 전반에 불만족”<퓨리서치>

입력 2014-09-10 00:00
업데이트 2014-09-10 17: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월호 참사’ 직후 조사…불만족도 최저 국가는 중국

한국 국민 10명 중 7명이 국정 전반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현재 경제상황에 대해서도 10명 중 6명이 부정적으로 인식했다. 앞으로 경제가 나아질 것이라는 의견은 10명 중 3명에 불과했다.

미국 여론조사기관 퓨리서치센터는 3월17일∼6월5일 한국 등 세계 44개국 성인 4만8천643명을 설문한 결과를 담은 이 같은 보고서를 9일(현지시간) 내놨다.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대상 한국인(1천9명)의 69%는 ‘현재 자국에서 벌어지는 일들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는가’란 질문에 ‘불만족한다’고 답했다.

이는 44개국 평균(69%)과 같고 아시아 평균(60%)보다는 높은 값이다.

다만, 한국은 조사기간이 세월호 참사 직후(4월17일∼30일)라 이런 상황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불만족도가 가장 낮은 국가는 중국(8%)이었다. 이어 베트남(12%), 말레이시아(20%), 러시아(36%) 등이 자국 국정에 높은 만족을 보였다.

선진국 중에선 독일이 38%로 가장 낮았다. 영국은 55%, 일본은 60%, 미국은 62% 수준이었다.

퓨리서치 센터 관계자는 “각국 수치는 국정전반에 대한 불만을 보여주는 것으로 정치, 경제, 사회, 안전 상황에 대한 인식을 포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자국 경제상황에 대해선 한국 응답자 65%가 ‘나쁘다’고 답했다.

이는 일본(63%), 미국(58%)과 비슷하나 인도(30%), 독일(15%), 중국(6%)보단 높은 수치다.

1년 뒤 경제가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도 한국은 30%로, 중국(80%), 인도(71%), 멕시코(50%), 미국(35%) 등에 뒤졌다. 다만 독일(26%), 일본(15%)보단 앞섰다.

한국에서 현재 가장 심각한 경제문제로는 취업난과 공공부채가 각각 58%로 제일 많이 꼽혔다. 그 뒤를 빈부격차(55%), 물가상승(44%) 등이 이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