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수감 미국인 매튜 밀러, 형 선고후 모습 첫 포착

북한 수감 미국인 매튜 밀러, 형 선고후 모습 첫 포착

입력 2014-09-25 00:00
업데이트 2014-09-25 16: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북한으로부터 6년의 노동교화형을 선고받은 미국인 매튜 토드 밀러(24)가 형 선고 이후 처음으로 외부에 모습을 드러냈다.

AP 통신의 영상서비스인 APTN은 가족과의 전화 통화를 위해 북한 교도관과 함께 평양의 한 호텔을 찾은 밀러와 만나 짧게 얘기를 나눴다며 그의 모습을 25일 공개했다.

밀러는 노동교화소에서의 상황이 어떠냐는 질문에 “하루 8시간의 노동을 한다. 이는 대부분 땅을 파고 다니는 등 농사일”이라고 답했다.

이어 “그 외에는 그저 격리돼 있으며 아무와도 접촉이 없다”며 “하지만 현재 건강은 좋으며, 다친 데도 아픈 데도 없다”라고 말했다.

밀러는 죄수복처럼 보이는 회색 유니폼과 모자를 쓰고 있었으며 교도관의 근접 감시하에 호텔 전화부스에 앉아 전화를 했다.

또 미셸 오바마 영부인, 존 케리 국무장관,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 등을 향해 직접 쓴 탄원서를 가족에 보내는 편지 안에 동봉했다고 AP 통신은 전했다.

북한 당국은 밀러가 이날 아버지와 통화를 했다고 밝혔으나 밀러는 주기적으로 전화를 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닌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밀러의 모습은 밀러가 지난 14일 북한 당국으로부터 6년의 노동교화형을 선고받은 뒤 처음으로 바깥세상에 포착된 것이다.

밀러는 지난 4월 관광을 위해 북한에 입국했으나 북한은 밀러가 관광증을 찢는 등 입국 검사과정에서 법질서를 위반했다며 그를 억류했다.

앞서 CNN은 북한 당국이 24일 청색 빛이 도는 회색 죄수복을 입는 밀러의 사진을 공개했다고 보도했다.

사진에서 밀러는 머리를 삭발한 채 눈을 아래로 깔고 있으며 옷의 왼쪽 가슴엔 ‘107’이란 번호가 보였다고 CNN은 전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