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 대국관계 구축’ 밀어붙이는 中… 냉담한 美

‘신형 대국관계 구축’ 밀어붙이는 中… 냉담한 美

입력 2014-11-14 00:00
업데이트 2014-11-14 01: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진핑, 정상회담서 7차례 강조…美 발표문에는 전혀 언급 없어

중국이 지난 11~12일 열린 미·중 정상회담을 계기로 두 나라 간 ‘신형 대국 관계 구축’을 다시 강조하고 있지만 미국은 시종 냉담한 태도를 보이는 등 양국 간 온도 차가 뚜렷하다. 향후 협력보다 경쟁과 대립이 많아질 것임을 의미하는 대목이어서 주목된다.

홍콩 명보는 13일 “미·중 간 신형 대국관계 구축과 관련한 양국의 정상회담 발표문이 다르다”고 지적했다.

전날 관영 신화통신의 발표에 따르면 시 주석은 베이징(北京)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미·중 정상회담에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에게 신형 대국관계 구축을 7차례 언급했으며, 오바마 대통령도 이에 “미국도 중국과 함께 신형 대국관계를 구축하기 바란다”고 화답했다. 반면 미국 백악관 측이 내놓은 정상회담 발표문에는 신형 대국관계 구축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다.

중국 언론들은 이날도 시 주석이 오바마 대통령에게 제안한 신형 대국관계 구축을 위한 6대 제안을 집중 조명했지만 명보는 중국의 신형 대국관계 구축에 대해 미국은 여전히 유보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고 전했다.

신형 대국관계 구축은 시 주석이 2012년 2월 국가부주석 신분으로 미국을 방문했을 때 처음 꺼냈다. 부상하는 중국이 기존 강국인 미국을 제치고 패권국이 될 수 없도록 견제해야 한다고 보는 ‘중국 위협론’을 누그러뜨리기 위해 만든 개념이다. 중국이 자국 영향력 확대를 위해 영토·주권 등 핵심 이익만 건드리지 않으면 미국의 세계 전략에 협조하겠다는 의사를 표시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반면 미국은 신형 대국관계 구축의 핵심은 중국이 미국에 맞설 힘을 키울 때까지 시간을 벌겠다는 것에 지나지 않다고 보고 이를 용납하지 않고 있다.

실제로 이번 회담에서 양국은 군사충돌 방지 협약 등 성과를 도출했지만 홍콩, 타이완 등 중국의 핵심 이익 문제를 두고는 충돌하는 모습을 보였다.

시 주석은 홍콩의 시위 사태에 타국이 간섭해선 안 된다고 미국을 겨냥했으며, 미국이 타이완에 무기를 수출하는 것에 대해서도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중국 인민대 국제관계학원 스인훙(時殷弘) 원장은 “베이징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의를 통해 중국은 미국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에 대항하는 아시아·태평양자유무역지대(FTAAP) 카드를 내놨다”면서 “전략 문제뿐 아니라 경제 문제를 놓고도 양국 간 경쟁이 본격화됐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미국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2014-11-14 1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