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과의 싸움…수색 장기화땐 또 미궁 가능성

시간과의 싸움…수색 장기화땐 또 미궁 가능성

입력 2014-12-29 10:20
업데이트 2014-12-29 1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악천후에 더해 기체 이상·인재 가능성도 제기유럽당국, 이달초 시정명령…”복합적 요인 추정”

에어아시아 여객기가 실종된 지 24시간 이상 지났지만 기체의 어떠한 흔적조차 발견되지 않고 있다.

이에 일각에서는 수색이 장기화하며 올해 3월 남인도양 상공에서 사라진 말레이시아 항공 ‘MH370’기의 실종 때와 마찬가지로 이번 사고도 미궁에 빠지는 것이 아니냐는 다소 성급한 우려가 나온다.

29일 CNN, AP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수색당국 등은 실종 이틀째를 맞은 현재까지 실종기와 관련한 아무런 단서를 발견하지 못했다.

교신 두절 당시 위치가 확실한 데다 추락 추정 범위가 넓지 않아 수색작업이 순조로울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예상이 빗나가고 있는 것이다.

일부 전문가는 실종 당일 이번 사고를 3월의 ‘MH370’기와 비교하는 것을 경계하며 “잔해가 수 시간 내에 발견될 가능성이 있다”고 공언했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했다.

인도네시아 당국과 국제사회가 이날 대대적인 수색작업을 재개했지만 넓은 바다에서 발생한 항공기 실종 사고의 특성상 상황은 그리 녹록지 않을 전망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실종기의 잔해가 해저에 가라앉거나 바람과 해류를 따라 떠내려가면서 수색을 어렵게 만들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수색 작업이 조기에 성과를 얻지 못할 경우 이번 실종 사고의 전모를 밝히는 것이 영영 불가능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MH370은 올해 3월 239명을 태우고 쿠알라룸프르에서 베이징으로 향하다가 남인도양 상공에서 실종됐으며 10개월이 된 현재까지 아무런 단서도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스티브 월러스 전 미 연방항공청(FAA) 사고조사반장은 “실종기가 MH370처럼 될 확률은 매우 낮다”고 주장했다.

그는 수색 지점 수심이 150피트(약 46m)로 MH370이 추락한 인도양(최소 1만 피트·약 3천48m)보다 얕다며 “날이 밝은 뒤 12시간 안에 발견되도 놀라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까지 실종기가 추락한 이유로 운항 당시의 악천후가 가장 유력하게 꼽히지만, 기기 결함이나 인재일 가능성이 있다는 추정도 나오고 있다.

로이터 통신은 실종기와 사실상 동일기종인 에어버스 A321이 운항 중 오작동을 일으켜 유럽항공안전청(EASA)이 이달 초 실종기 기종 A320에까지 시정명령을 내린 사실이 있다고 전했다.

운항 중 기체의 특정 센서가 악천후로 얼어붙으면서 컴퓨터가 시동이 꺼질 것 같다고 판단해 비행기 기수를 아래로 향하도록 자동으로 반응했다는 것이다.

당시 EASA는 조종사가 이 같은 자동 반응을 중지하지 못하면 최악에는 기체 통제력을 상실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고 로이터는 보도했다.

CNN의 항공전문가 리처드 퀘스트도 “악천후 자체만으로 항공기가 추락하는 경우는 없다”며 “오히려 조종사가 악천후에 어떻게 대응했는지가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다른 전문가들도 해당 고도에서 기상 여건이 급격하게 변하면서 조종사가 손을 쓸 틈이 없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로이터는 “통계적으로 한 가지 요인 때문에 일어났다는 사고 보고는 드물다”며 “대부분 사고는 여러 요인이 조합된 것”이라고 전했다.

에어아시아의 QZ8501 여객기는 전날 인도네시아 시간 오전 5시35분께 인도네시아 수라바야에서 출발해 이륙 42분 만에 교신이 끊겼다.

교신 두절 당시 여객기엔 한국인 선교사 박성범(37)씨 가족 3명을 포함한 승객 155명과 승무원 7명 등 162명이 타고 있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