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푸틴과 통화하며 신경전…러시아 대북 영향력 견제

트럼프, 푸틴과 통화하며 신경전…러시아 대북 영향력 견제

입력 2019-05-04 11:10
업데이트 2019-05-04 11: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2019.04.29 워싱턴 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2019.04.29 워싱턴 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통화하면서 대북 압박에 공조할 것을 제안했다. 이에 푸틴 대통령은 북한의 성실한 의무 이행을 전제로 한 대북제재 완화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맞대응했다.

세라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오늘 아침 푸틴 대통령과 (전화로) 1시간 동안 대화를 나눴다”면서 북한과 우크라이나, 베네수엘라 등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샌더스 대변인은 또 푸틴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서 받은 메시지를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달했냐고 묻는 질문에는 “통화의 상당한 시간을 북한에 관해 얘기했고 (북한) 비핵화의 필요성과 약속을 되풀이했다”면서 즉답을 피했다. 그는 이어서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가 나서서 북한 비핵화에 압박을 가할 필요가 있다고 수차례 강조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 같은 발언은 김 위원장과의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반도 비핵화 협상에 영향력을 강화하려는 푸틴 대통령을 견제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이에 푸틴 대통령은 북한의 성실한 의무 이행을 전제로 제재 완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응수했다.

크렘린궁은 이날 보도문을 내 “(푸틴 대통령은) 북한의 성실한 의무 이행에 대해 대북 제재 완화가 수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면서 “양측 모두 비핵화와 한반도(정세)의 정상화를 달성하는 데 진전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언급했다”고 설명했다.

푸틴 대통령의 대북제재 완화 언급은 김 위원장의 요청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푸틴 대통령은 김 위원장과 정상회담을 한 직후 북한의 체제 보장 필요성과 이를 위한 6자회담의 효용성을 거론하는 한편, 김 위원장이 미국 측에 자신의 입장을 전달해달라고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비핵화 협상에서 영향력을 확보하려는 러시아와 이를 차단하려는 미국 사이의 신경전이 앞으로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관측된다.

앞서 존 볼턴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지난달 28일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푸틴 대통령이 거론했던 6자회담에 대해 미국이 선호하는 방식은 아니라며 선을 긋고, 중국과 러시아에 대북제재 이행을 촉구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1일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에 맞춰 푸틴 대통령과 양자회담을 할 예정이었으나 회담 이틀 전 전격 취소하고, G20 만찬에서 비공식 대화만 가졌다. 이날 전화통화는 그 이후 이뤄진 첫 통화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