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무리한 인질 구출작전 논란

美 무리한 인질 구출작전 논란

입력 2014-12-08 00:00
업데이트 2014-12-08 00: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예멘서 네이비실 투입했다 인질 2명 모두 사망…오바마 “작전 반드시 필요” 해명 불구 비난 여론

미국이 예멘의 알카에다 아라비아반도지부(AQAP)에 피랍된 미국과 남아프리카공화국 출신의 인질 2명을 구하기 위해 무리한 구출 작전을 벌이다 인질들을 모두 사망하게 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6일(현지시간) AFP통신 등 외신들은 미 특수부대 네이비실 대원 40명이 이날 오전 1시쯤 예멘 남동부 샤브와주 다파르에 위치한 AQAP 건물을 급습했다고 전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승인을 받은 대원들은 수직이착륙 수송기에 탑승한 채 AQAP의 건물 인근에 착륙해 진입을 시도했으나 개들이 짖으면서 총격전으로 이어졌다.

미 국무부는 미국인 프리랜서 사진기자 루크 소머스(33)와 남아프리카공화국 출신 교사 피에르 코르키(56)가 총상을 입었고 각각 이송 중 혹은 미 군함으로 옮겨진 직후 사망했다고 밝혔다. 소머스는 예멘타임스 사진기자로 일하다 지난해 9월 예멘 수도 사나에서 괴한들에게 납치됐다. AQAP와 연계된 무장조직은 지난 4일 인터넷에 유포한 동영상에서 소머스를 사흘 안에 살해하겠다고 협박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작전이 반드시 요구되는 상황이었다”고 해명했으나 안팎의 비난 여론은 점점 커지고 있다. 특히 코르키의 경우 현지 구호단체의 도움으로 석방을 불과 하루 앞둔 상태였다고 영국 가디언은 전했다. 남아공 블룸폰테인 출신으로 예멘에서 4년간 교사로 일해 온 코르키 부부는 지난해 5월 타이즈시에서 함께 납치됐다가 지난 1월 아내 욜란데만 자선단체의 중재로 석방됐다.

미군은 이번 작전에 앞서 지난달 25일에도 소머스 구출 작전을 펼쳤으나 정보가 미리 새어 나가 실패했다. 지난 7월에도 이슬람국가(IS)에 피랍된 미국인을 구출하려다 같은 이유로 좌절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12-08 1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