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터, 김정은과 면담 희망…트럼프 “전직 대통령이 관여할 일 아니다”

카터, 김정은과 면담 희망…트럼프 “전직 대통령이 관여할 일 아니다”

장은석 기자
입력 2017-10-09 10:45
업데이트 2017-10-09 10: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이 북핵 위기 해결을 위해 북한을 방문,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과 면담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과 김일성 주석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과 김일성 주석 1994년 6월 개인 자격으로 북한을 방문한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과 김일성 주석이 선상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모습.
출처=조선중앙TV
아직 북한 측 입장은 확인되지 않았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카터 전 대통령의 방북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져 성사 가능성은 불투명하다.

북한 전문가이자 평화학자인 박한식(78) 조지아대 명예교수는 9일 연합뉴스를 통해 지난달 28일 조지아주의 카터 전 대통령 자택에서 그와 회동한 사실을 전하며 이와 같은 사실을 밝혔다.

박 교수는 “카터 전 대통령이 빌 클린턴 행정부 시절인 1994년 전격 방북해 극적 반전을 끌어냈던 것처럼 생전에 다시 한 번 엄중한 상황을 풀기 위한 역할을 하고 싶어한다”고 말했다.

그는 “의사전달의 공신력을 높이기 위해 카터 전 대통령이 신문 기고를 통해 현 상황에 대한 입장을 밝히는 게 어떻겠느냐는 의견을 서로 나눴고, 이에 실제 기고한 글과 함께 그의 방북 의사가 북한 측에도 전달된 상태”라며 “북측으로부터 아직 답을 듣지는 못했다. 그쪽에서도 깊이 고민하지 않겠는가”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카터 전 대통령은 지난 3일 자 워싱턴포스트(WP)에 실린 기고에서 한반도 내 ‘제2의 전쟁’ 가능성을 경고하면서 “군사적 공격이나 좀 더 강력한 경제제재 등은 위기를 끝낼 즉각적인 길이 되지 못한다”며 평화협상을 위한 대북 고위급 대표단 파견을 미국 정부에 공개 제안했다.

박 교수는 “카터 전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게도 두어 차례 방북 의사를 전달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이 ‘(대북문제는 현직인) 내가 해야 할 일이다. 전직 대통령이 관여할 영역이 아니다. 알아서 하겠다(Leave me alone)’라고 했다더라”고 전했다.

그는 “공식 특사 자격으로 간다면 무게는 더 실릴 수 있겠지만, 카터 전 대통령이 꼭 특사 자격을 바라는 것은 아니다”라며 “북측의 반응 등 상황을 좀 봐야 한다. 만일 북한 쪽에서 공식 초청장을 보낸다면 트럼프 대통령과 다시 이야기해볼 텐데, 트럼프 대통령이 계속 반대할 경우 어떻게 할지는 그때 생각해볼 것”이라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