톈안먼 25주기 특사?

톈안먼 25주기 특사?

입력 2014-06-10 00:00
업데이트 2014-06-10 00: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추모식 큰 소요 없이 마무리 짓자 외신기자·민주화 인사 속속 석방

6·4 톈안먼(天安門) 사태 25주년이 소요 없이 지나가자 중국 당국에 의해 체포됐던 외신 기자와 민주화 인사 일부가 풀려나기 시작했다. 당국은 톈안먼 희생자 추모식을 막기 위해 기념일에 앞서 관련 인사들을 대거 잡아들인 바 있다.

중국의 유명 인권변호사인 푸즈창(浦志强)을 인터뷰했다는 이유로 지난 5월 당국에 체포됐던 일본 니혼게이자이(닛케이)신문 충칭(重慶)지국의 중국인 취재 보조원 신젠(辛健)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의 전 베이징 특파원 우웨이(吳薇)가 지난 7일 석방됐다고 VOA(미국의 소리) 중문망이 9일 보도했다.

이들이 취재한 푸즈창은 지난 5월 초 베이징의 한 가정집에서 톈안먼 사태 관련 토론회를 진행하던 중 공공질서를 문란시킨 혐의로 당국에 끌려갔다. 당시 그와 함께 체포된 반체제 인사 중 3명도 지난 5일 보석으로 풀려났다고 홍콩 매체들이 전했다.

또 광둥(廣東)성의 예두(野渡), 산시(陝西)성의 마샤오밍(馬曉明), 광시좡(廣西壯)족자치구의 왕더방(王德邦) 등 인권운동가들이 톈안먼 25주년 직전 당국에 의해 ‘강제여행’ 조치를 당했다가 지난 6~7일 고향에 돌아온 것으로 확인됐다고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이 보도했다. 그러나 푸즈창을 비롯해 관련 인사 상당수가 여전히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 톈안먼 시위 당시 강경 진압에 반대하다가 실각한 자오쯔양(趙紫陽) 전 당 총서기의 비서 바오퉁(鮑?), 톈안먼 사태를 취재한 경력이 있는 반체제 여성 언론인 가오위(高瑜) 등의 석방 소식은 들리지 않는다.

훙레이(洪磊)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왜 일부 인사는 석방되고 일부 인사는 억류돼 있느냐’는 질문에 “중국 사법 당국은 법에 의해 사건을 처리한다”고 말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2014-06-10 1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