反문혁 덩샤오핑 “경제는 놔둬라” 마오에 편지 썼다

反문혁 덩샤오핑 “경제는 놔둬라” 마오에 편지 썼다

입력 2014-08-20 00:00
업데이트 2014-08-20 04: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발언 이례적 공개… 시진핑, 좌파에 경고 메시지 보낸 듯”

‘중국 개혁·개방의 총설계사’로 불리는 덩샤오핑(鄧小平)이 문화대혁명(문혁·1966~1976년) 초기에 마오쩌둥(毛澤東) 전 국가주석에게 “문혁의 범위를 좁혀야 한다”는 편지를 보낸 사실이 처음 공개됐다. 덩샤오핑이 문혁에 비판적인 입장이었던 것은 익히 알려져 있지만 구체적인 발언 내용이 소개된 것은 이례적이다.

덩샤오핑(왼쪽)-마오쩌둥(오른쪽)
덩샤오핑(왼쪽)-마오쩌둥(오른쪽)
중국 공산당 중앙문헌연구실이 덩샤오핑 탄생 110주년(22일)을 앞두고 발간한 ‘덩샤오핑 문집’과 ‘덩샤오핑전’ 등에 이런 내용이 처음 수록됐다고 신경보가 19일 보도했다. 신문은 덩샤오핑이 문혁 초기인 1966년 6월 마오에게 보낸 편지에서 “공업·광업 기업과 기초설비 건설 등 (경제·산업) 분야의 기층 단위까지 건드리는 것은 곤란하다”며 문혁은 문화·교육 분야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적었다고 전했다.

당시 경제·산업을 관장하던 국무원 부총리로서 문혁이 대약진운동(1958~1960년)으로 피폐해진 중국 경제 회복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며 축소 시행을 건의한 것이다. 그러나 마오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덩샤오핑은 그해 10월 당 정치국확대회의에서 문혁에 대한 불만을 표출했다가 공개 비난을 받기 시작했고, 이듬해 3월 마오가 정적으로 생각한 류사오치(劉少奇) 당시 국가주석과 함께 주자파(走資派)로 몰려 실각했다. 문헌은 또 덩샤오핑이 대약진운동 직후인 1961년 3월 당 중앙서기처 회의에서 “대약진운동 실패 이후 우리가 얻은 교훈은 실사구시(實事求是)를 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고 기록했다. 대약진 당시 당국이 생산 현장에 대한 조사를 충분히 하지 않아 생산 목표량을 달성했다는 허위보고를 알아채지 못한 점을 지적하며 “마오도 이 점을 반성했다”고 말했다.

마오는 1960년 대기근을 초래한 대약진운동에 대한 책임을 지고 류사오치에게 국가주석직을 넘긴 뒤 2선으로 물러났다. 이듬해인 1961년 덩샤오핑은 류사오치와 함께 흑묘백묘(黑猫白猫)론을 내세워 실용주의 경제 노선을 채택했으나 마오가 이를 자신에 대한 도전으로 여기면서 둘 사이가 악화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회과학원 출신의 역사학자 장리판(章立凡)은 “문혁, 대약진 등 마오의 과오가 이전보다 크게 부각된 모양새”라면서 “문혁에 대한 나쁜 기억이 있는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등 훙얼다이(紅二代·혁명 원로의 후손) 집권 세력이 덩샤오핑 탄생일을 계기로 ‘좌파로 쏠리는 움직임은 용납하지 않겠다’는 경고의 메시지를 보낸 것”이라고 해석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2014-08-20 11면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